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728x90

 

 

범용 접착제 부문에서 지속적인 신소재 개발과 함께 향후 수요 확대가 기대되고 있는 자동차, IT, 의료산업용 등 고기능성 접착제의 개발 분야를 확대함으로써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 하여야 합니다.

 

접착제 생산업체가 수요업체와의 긴밀한 협의 하에 신소재 연구개발에 전념하고, 개발 후 실질적인 납품보장을 받을 수 있도록 소재-수요기업간 상호신뢰 풍토를 정착시키도록 노력 하여야 합니다.

 

환경개선을 위한 기술개발 과제에 대한 정부 지원책을 적극 활용하여 국내 접착제산업의 차세대 환경기술개발 기반을 확충해 나가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진행 하여야 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기본방향
접착제산업을 주력산업 성장의 핵심기반으로 간주하는 등 인식을 전환하고, 수급기업 주도의 신성장산업 대응 기술개발 과제의 추진하며 다국적기업들의 국내진출에 따른 불공정 거래, 무역행위에 대한 철저한 감시체제 구축이 필요 합니다.

전반적인 기술력 제고를 위한 정책이 최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합니다. 이를 열거하여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수요 지향적인 기술개발 과제의 지속적 추진
- 시험, 검사, 분석 시스템의 구축(국내 접착제 생산업체의 시험, 검사, 분석에 필요한 실험장비들이 많이 부족한상황)
- 전문 인력양성 체계의 확립
- 대, 중소기업 상생협력 제도의 적극적 활용 등

수요산업과의 효율적이고 유기적인 협력, 연계체제 구축이 필요합니다.

글로벌 경쟁시대에 살아남기 위하여 극소수라도 기업규모를 키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구조조정을 추진 하여야 합니다.

목표(타깃)시장의 고부가가치 분야로의 전환이 시급합니다.

EU REACH 등 세계 환경규제에 효율적으로 대응 하여야 합니다.

전문 인력양성 체계의 확립도 지속적으로 추진 하여야 하며 이를 국가에서도 강력히 추진하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자재료 분야 등 기능성 접착제 분야라는 틈새시장(niche market)의 확보를 위하여 수출산업화 지원 확대 정책이 필요 합니다.

수요산업과의 효율적이고 유기적인 협력, 연계체제 구축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 합니다.

산학연 연계 강화 및 제도개선, 해외 마케팅 지원 등 인프라 확충에도 많은 노력을 하여야 합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일본기업을 100으로 할 경우, 주요국과 비교시 한국 접착제 제품의 분야별 종합경쟁력은 가격경쟁력만이 미, 일보다 약간 우위에 있을 뿐이고(그나마 5년 후에는 더 약화됨), 품질, 기술 경쟁력은 현재, 5년 후 공히 열위에 있는(있을) 것으로 평가 된다고 합니다.

다만, 중국에 비해서는 가격경쟁력이 비교열위에 있지만 품질, 기술 경쟁력은 현재, 5년 후 공히 우위에 있는(있을) 것으로 평가 되었습니다.

국내 접착제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생산업체들은 1순위는 가격→기술→품질 순인 데 반해 2순위는 품질→가격→판로 순으로 응답 하였다고 합니다.

반면, 국내 수요업체들은 국내 접착제 생산업들의 문제점으로서 ‘기술력부족 및 제품 다양화 부족’을 가장 많이 들고 있고, 그 다음이‘품질수준 저위’를 들고 있는바, 앞의 생산업체 대상 설문에서 일본(=100) 대비 국내기업의 품질수준이 93.5로 보는 것과 상당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