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eak의 넓이를 정확하게 보정하면 시료의 화학반응, 변성, 중합, 융용 등의 열량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혹은 반응열을 알고 있으면 반응물질의 양을 구해낼 수 있습니다. 어떠한 현상이라도 만약 시료에 enthalpy의 변화가 있든지 열용량의 변화가 있으면 감도가 충분히 큰 DTA나 DSC로 반드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고분자 물질은 용융온도가 다른 물질에 비해 대체로 낮기 때문에 좁은 온도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물리적 변성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DTA에서는 물리적 변성이 일어날 때마다 변하는 비열, 열전도도, 열용량을 정확하게 보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DTA곡선을 정량으로는 물론 정성적으로 해석한다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DSC의 경우에는 시료에 흡열이나 발열이 있으면 감도가 훨씬 뛰어난 센서에 의해 예민하게 측정이 가능하며 신호변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정성은 물론 정량해석도 가능하게 됩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열분석장비 DS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분자 물질의 DSC 및 DTA 분석 (8) | 2014.06.20 |
---|---|
DSC의 장점 (0) | 2014.06.13 |
DSC의 Peak (0) | 2014.06.05 |
DSC의 원리 (0) | 2014.05.30 |
DTA의 특성 (0) | 2014.05.23 |
Heat Flux DSC (0) | 2014.05.16 |
TAG DSC,
dta,
enthalpy,
enthalpy의,
Peak,
가능,
가능하게,
가지,
감도,
감도가,
것도,
경우,
고분자,
곡선,
곡선을,
구할수,
구해,
구해낼수,
그러나,
나고,
날때,
날때마다,
낮기,
내에서,
낼수,
넓이,
넓이를,
다른,
다른물질,
다른물질에,
대체,
대체로,
등의,
때문,
때문에,
뛰어난,
마다,
만약,
물론,
물리,
물리적,
물리적변성,
물리적변성이,
물질,
물질은,
반드시,
반응,
반응물질,
반응물질의,
반응열,
반응열을,
발열,
발열이,
범위,
변성,
변성이,
변하는,
변한,
변화,
변화가,
보정,
보정하면,
비열,
비해,
센서,
센서에,
쉽게,
쉽지,
시료,
시료에,
시료의,
신호,
신호변한,
신호변한이,
않습,
알고,
양을,
어떠한,
에서,
에서는,
여러,
여러가지,
열량,
열량을,
열용량,
열용량의,
열전도,
열전도도,
예민,
예민하게,
온도,
온도범위,
용량,
용융,
용융온도,
용융온도가,
으로,
으로는,
의해,
이나,
이라도,
이루어,
이루어져,
일어,
일어나고,
있다면,
있든,
있든지,
있습,
있으면,
전도,
전도도,
정량,
정량으로,
정량으로는,
정량해석,
정량해석도,
정성은,
정성적,
정성적으로,
정화하게,
정확,
정확하게,
좁은,
좁은온도,
충분,
충분히,
측정,
하게,
하기,
하며,
하면,
하여,
하여야,
한다,
할수,
해석,
해석한다,
현상,
현상이라도,
혹은,
화학,
화학반응,
확인,
확인할수,
효율,
효율적,
효율적으로,
훨씬,
흡열,
흡열이나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