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의 산화 혹은 열분해 반응의 측정은 DTA/DSC의 시료 주변의 기류를 산소(혹은 공기) 바꿈으로써 가능합니다. 폴리에칠렌의 공기 기류 하에서와 질소 기류 하에서의 DTA/DSC thermogram을 보면 공기기류 하 160-450℃ 범위에서 산화반응에 따른 발열을 관찰할 수 있으며 500℃ 부근에서 흡열곡선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열분해 반응에 의한 것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산화방지제의 효과도 비교 검토할 수 있으며, 폴리에칠렌을 질소 기류 하에서 우선 200℃까지 가열한 다음 산소기류로 치환하고 등온 하에서의 산화 발열을 측정하면 (1)번 시료와 같이 산화 방지제가 첨가되지 않은 시료의 유발시간 (induction time) 이 4, 5분 인데 반하여 산화 방지제의 첨가량이 (2)번, (3)번으로 증가할수록 그 유발 시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열분석장비 DS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분석을 시작하기 전에 확인하여야할 사항들 (0) | 2014.09.26 |
---|---|
산화, 열분해반응 (0) | 2014.09.19 |
중합 및 경화반응 (0) | 2014.09.05 |
화학반응 (0) | 2014.08.29 |
HDPE-PP의 혼합물과 블록 공중합물 (2) | 2014.08.22 |
기핵제(nucleating agent)의 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0) | 2014.08.14 |
TAG DSC,
dta,
induction,
thermogram,
Time,
가능,
가열,
가열한,
같이,
검토,
고분자,
고분자의,
곡선,
곡선을,
공기,
공기기류,
관련,
관련하여,
관찰,
관찰할수,
기류,
기류를,
기류하,
까지,
다음,
되지,
등온,
등온하,
따른,
바꿈,
바꿈으로,
반응,
반응에,
반응의,
반하여,
발열,
발열을,
방지,
방지제,
범위,
범위에서,
보면,
볼수,
볼수있는데,
부근,
부근에서,
분자,
분자의,
분해,
분해반응,
비교,
비교검토,
산소,
산소기류,
산소기류로,
산화,
산화반응,
산화반응에,
산화발열을,
산화방지,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제가,
산화방지제의,
시간,
시간이,
시료,
시료와,
시료의,
않은,
알수,
에서,
에서와,
에서의,
에칠렌,
열분해,
열분해반응,
열분해반응의,
우선,
유발,
유발시간,
유발시간이,
으로,
의한,
이는,
이와,
인데,
있는데,
있습,
있으며,
주변,
주변의,
증가,
증가함,
증가함을,
질소,
질소기류,
첨가,
첨가되지,
첨가량,
첨가량이,
측정,
측정은,
측정하면,
치환,
치환하고,
폴리,
폴리에칠렌,
폴리에칠렌을,
폴리에칠렌의,
하고,
하면,
하여,
할수,
할수록,
합니,
혹은,
혹은공기,
효과,
효과도,
흡열,
흡열곡선,
흡열곡선을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