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0. 13. 08:30 접착제란?
핫멜트 접착제의 원료물질 - 고분자
728x90
핫멜트 접착제의 물성에서 접착력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기본 수지인 고분자입니다. 첨가제에의한 개질이 필요한 고분자 수지로는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올레핀(LDPE, 무정형-PP), 에틸렌 공중합체(EVA)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에 따라 이용분야도 상이합니다.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단단한 폴리스티렌 블록과 유연한 구조의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이소프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져있으며, 가열하면 유동성을 나타내며, 냉각시에 스티렌 부분의 응집과 고무 부위의 연성에의해 접착특성을 가지게 됩니다. 폴리올레핀계는 타접착제에 비해 대기중 노출시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에틸렌 초산비닐(EVA)은 실장(Packaging)에 사용되는 가장 흔한 핫멜트용 기본수지로써 비닐초산의 함량은 6%~40%까지 사용됩니다. 비닐 초산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PE에 의한 결정화도가 낮아지고 유연성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극성기의 도입으로 용해성, 접착력, 높은 온도에서의 점착성 등이 좋아지며 다양한 점착부여수지와 상용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접착부위에서 발생된 초산에 의해 부식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핫멜트 접착제의 개발동향 (0) | 2015.10.27 |
---|---|
핫멜트 접착제의 원료물질 - 기타첨가제 (0) | 2015.10.20 |
핫멜트 접착제의 원료물질 - 고분자 (0) | 2015.10.13 |
핫멜트 접착제의 소개와 배경 (0) | 2015.10.06 |
Pressure Sensitive 접착제의 개발 동향 (0) | 2015.10.01 |
Pressure Sensitive 접착제의 배경 (0) | 2015.09.22 |
TAG EVA,
ldpe,
packaging,
PE,
pe에,
PP,
가능,
가능성,
가능성이,
가열,
가열하면,
가장,
가장흔한,
가지게,
각각,
각각의,
개질,
개질이,
것은,
결정,
결정화,
결정화도,
결정화도가,
고무,
고무부위,
고무부위의,
고분자,
고분자수지,
고분자수지로,
고분자수지로는,
공중,
공중합,
공중합체,
구조,
구조의,
극성,
극성기,
극성기의,
기본,
기본수지,
기본수지인,
길다,
길다는,
나타내,
나타내며,
낮아,
낮아지고,
냉각,
냉각시,
노출,
노출시간,
높아,
높아질수록,
높으온도에서,
높은,
높은온도,
높은온도에,
다양,
다양한,
단단,
단단한,
대기,
대기중,
도입,
도입으로,
되는,
따라,
멜트,
무정형,
물성,
물성에,
물성에서,
물질,
반면,
발생,
발생된,
부분,
부분의,
부식,
부식의,
부여,
부여수지,
부위,
부위의,
부타디엔,
부틸렌,
분야,
분야도,
분자,
블록,
비닐,
비닐초산,
비닐초산의,
비해,
사용,
사용되는,
상용,
상용성,
상용성이,
상이,
성기,
성기의,
수지,
수지로,
수지로는,
수지인,
스티렌,
스티렌계,
시간,
실장,
실장에,
에틸렌,
연성,
연성에,
영향,
영향을,
온도,
온도에,
온도에서,
올레핀,
용해,
용해성,
원료,
원료물질,
유동,
유동성,
유동성을,
유연,
유연성을,
유연한,
유연한구조,
유연한구조의,
으로,
응집,
응집과,
의한,
의해,
이루어,
이루어져,
이소프렌,
이용,
이용분야,
이용분야도,
있다,
있으며,
장점,
장점이,
점착,
점착부여,
점착부여수지,
점착성,
접착,
접착력,
접착력에,
접착부위,
접착제,
접착제에,
접착제의,
접착특성,
접착특성을,
정형,
존재,
좋아,
주는,
주는것,
주는것은,
지고,
질수록,
첨가,
첨가제,
첨가제에,
초산,
초산에,
초산의,
큰영향,
큰영향을,
타접착제,
타접착제에,
특성,
특성을,
특징,
특징에,
폴리,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폴리이소프렌,
필요,
필요한,
하면,
함량,
함량은,
함량이,
합체,
핫멜트,
핫멜트용,
핫멜트접착,
핫멜트접착제,
흔한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