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8. 8. 08:30 열분석장비 DSC
혼합물의 결정화 및 발열
728x90
상기그림은 고밀도 폴리에칠렌 (Marles 50), 저밀도 폴리에칠렌(DYNH), 폴리프로필렌 및 고밀도 폴리에칠렌-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의 결정화 발열곡선으로서 폴리에칠렌은 융점과 재결정온도 사이에 약 10-20℃ 의 차이가 있으나 폴리프로필렌은 40℃의 차이를 보이며 HDPE 와 PP의 혼합물에서는 재결정 발열 곡선이 하나로 통합되어 결정화가 일어난 폴리프로필렌이 결정핵의 역할을 하여 HDPE의 재결정을 촉진하는 과정이 관찰됩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열분석장비 DSC' 카테고리의 다른 글
HDPE-PP의 혼합물과 블록 공중합물 (2) | 2014.08.22 |
---|---|
기핵제(nucleating agent)의 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0) | 2014.08.14 |
혼합물의 결정화 및 발열 (4) | 2014.08.08 |
고분자의 결정화 (0) | 2014.08.01 |
고분자의 용융 - 불규칙 공중합 (0) | 2014.07.25 |
고분자의 용융 - 나일론 66 (0) | 2014.07.18 |
TAG dynh,
marles,
PP,
결정,
결정온도,
결정핵,
결정핵의,
결정화,
고밀도,
과정,
과정이,
관찰,
그림,
그림은,
되어,
됩니,
밀도,
발열,
발열곡선,
발열곡선으로,
발열곡선이,
보이며,
사이,
사이에,
상기,
상기그림,
상기그림은,
에칠렌,
역할,
역할을,
온도,
융점,
융점과,
으로서,
일어난,
있으나,
재결정,
재결정온도,
저밀도,
차이,
차이가,
차이를,
촉진,
촉진하는,
통합,
통합되어,
폴리,
폴리에칠렌,
폴리에칠렌은,
폴리프로필렌,
프로필,
프로필렌,
하나,
하나로,
하는,
하여,
혼합,
혼합물,
혼합물에서,
혼합물의
댓글을 달아 주세요
까다로운 질문에 친절하고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핸드폰으로 쓰느라 질문 뜻이 조금 불명확했던 것 같아서 컴퓨터로 돌아와서 재차 문의드립니다. Tc와 Tm은 어차피 반대방향으로 나오는 게 당연하다는 전제하에 BASELINE 기준으로 발열반응 총면적과 흡열반응 총면적이 같지 않은 이유를 여쭤보고 싶습니다. Tc가 차지하는 면적과 Tm이 차지하는 면적이 같지 않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다시 정리하면 1. 그래프 하나만 두고 봤을 때 Tc, Tm 중 어느 하나는 뾰족하고 하나는 둥근 경우, 그 이유는, 덜 뾰족하고 더 뾰족하고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2. Tc, Tm 면적이 상이한 이유는? 흡열한 양이 들어오면 그대로 나가야 하는데 아래 그래프 면적과 위의 그래프 면적이 상이한 이유는? 3. 한 물질 안에서 흡열이 발생하는 이유, 발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기본부터 잘 몰라서 질문이 장황한 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티씨씨 관리자입니다. 저희가 열분석 자료를 올릴때는 2년이 훌쩍 넘었음을 전제로 말씀을 드립니다. 분석장비 분석은 한참 연구할때 이외에는 금방 까먹습니다. 이점 참고하시고 답을 드리겠습니다. 답을 위하여 다시 열분석 자료 공부하는 수고도 별로 할생각이 없고요. 거기에 더해서 요즘 열분석 관련하여 문의가 많네요. 무슨일 있나요?
저의 기억을 되집어 보며 답을 드리면, 면적이 다른것은 시료에 불순물 함유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제기억이 맞을것으로 생각은 되는데, 확인은 안해봤습니다. 제기억이 맞으면 모든질문에 대한 답은 된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비밀댓글입니다
티씨씨 관리자입니다. 도움이 되신것 같아서 다행입니다. 좋은주말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