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소시아네이트와 수분이 반응하여 아민 말단기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킵니다. 최종적으로 형성된 우레아(urea) 결합은 수소결합을 형성할수 있어 피착제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접착부위의 기계적 강도를 상승시킵니다. 반면, 휘발성인 이산화탄소의 발생은 접착계면에서의 탈착 혹은 취약점(Weak Point)으로 작용할수 있어 접착력을 저하시킬수 있습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lydienes & Polysulfides (0) | 2015.07.07 |
---|---|
반응성 접착제의 종류 - 기타 우레탄 접착제 (0) | 2015.06.30 |
반응성 접착제의 종류 - Polyuretanes (0) | 2015.06.16 |
반응성 접착제의 종류 - 실리콘 (0) | 2015.06.09 |
반응성 접착제의 종류 - Polysiloxanes (0) | 2015.06.02 |
TAG Point, urea, weak, 강도, 강도를, 강화, 강화시키고, 결합, 결합력, 결합력을, 결합은, 결합을, 경화, 경화형, 계면, 기계, 기계적, 기계적강도, 기계적강도를, 네이트, 말단, 말단기, 말단기와, 반면, 반응, 반응성, 반응하여, 발생, 발생은, 부위, 부위의, 산화, 상승, 성분, 성분계, 수분, 수분경화, 수분경화형, 수분이, 수소, 수소결합, 수소결합을, 시키고, 시킬수, 시킵, 아민, 우레아, 우레아결합, 우레아결합은, 우레탄, 이산화,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의, 이소시아,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와, 있습, 있어, 작용, 작용할수, 저하, 저하시킬수, 접착, 접착계면, 접착계면에, 접착계면에서, 접착계면에서의, 접착력, 접착력을, 접착부위, 접착부위의, 접착제, 접착제의, 접착제의종류, 종류, 착제, 최종, 최종적, 최종적으로, 취약, 취약점, 취약점으로, 탄소, 탄소를, 탈착, 피착, 피착제, 피착제와, 피착제와의, 하여, 할수, 형성, 형성된, 형성할수, 혹은, 휘발, 휘발성, 휘발성인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