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0. 6. 08:30 접착제란?
핫멜트 접착제의 소개와 배경
728x90
핫멜트(열용융, Hot melt) 접착제는 상온에서 고체상의 물질로서 접착 과정 중에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지 않고 고형분을 열에 의해 용융시켜 액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접착제입니다. 대다수의 핫멜트 접착제는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없으며, 사용도중 열가소성 수지의 특징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핫멜트 접착제는 용제성이나 수용성 제품에 비하여 건조과정이 필요 없고 접착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자동화된 생산라인에 적용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접착강도가 낮으며, 내한성과 내열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핫멜트 접착제에는 수지 단독으로 접착특성을 나타내도록 설계된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있으며, 에틸렌-초산비닐(EVA),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부여수지(Tackifier), 왁스(Wax)등의 타조성물과 배합하여 핫멜트의 특성을 이루는 타입으로 분류할수 있습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핫멜트 접착제의 원료물질 - 기타첨가제 (0) | 2015.10.20 |
---|---|
핫멜트 접착제의 원료물질 - 고분자 (0) | 2015.10.13 |
핫멜트 접착제의 소개와 배경 (0) | 2015.10.06 |
Pressure Sensitive 접착제의 개발 동향 (0) | 2015.10.01 |
Pressure Sensitive 접착제의 배경 (0) | 2015.09.22 |
Pressure Sensitive 접착제의 소개 (0) | 2015.09.15 |
TAG EVA,
Hot,
Melt,
tackifier,
WAX,
가소성,
가소성수지,
가소성수지의,
강도,
강도가,
건조,
건조과정,
건조과정이,
고체,
고체상,
고체상의,
고형분,
고형분을,
공중합,
공중합체,
과정,
과정이,
나타내,
낮으며,
내열,
내열성,
내한성,
다수,
다수의,
단독,
단점,
단점이,
대다수,
대다수의,
도중,
때문,
때문에,
또는,
라인,
라인에,
만들어,
멜트,
물질,
물질로,
물질로서,
반면,
반응,
반응성,
반응성이,
배경,
배합,
배합하여,
부여,
분류,
분류할수,
분산,
분산시키지,
블록,
비닐,
비하여,
빠르기,
사용,
사용도중,
사용하는,
상온,
상온에,
상온에서,
생산,
생산라인,
생산라인에,
설계,
설계된,
소개,
소개와,
소개와배경,
속도,
속도가,
수용,
수용성,
수지,
수지단독,
수지의,
스티렌,
스티렌계,
시켜,
시키지,
아미드,
않고,
액상,
액상으로,
없고,
없으며,
에스터,
에틸렌,
열가소성,
열가소성수지,
열가소성수지의,
열에,
열용융,
왁스,
용매,
용매에,
용융,
용융시켜,
용제,
용제성,
용제성이나,
용해,
우레탄,
우레탄계,
유지,
으로,
의해,
이러한,
이루는,
있는,
있다,
있으며,
자동,
자동화,
자동화된,
장점,
장점이,
적용,
적용할수,
점착,
점착부여,
접착,
접착강도,
접착강도가,
접착과정,
접착속도,
접착속도가,
접착제,
접착제는,
접착제의,
접착특성,
접착특성을,
제품,
제품에,
조성물,
존재,
중에,
초산,
초산비닐,
취약,
취약하다,
타입,
타입으로,
타조성,
타조성물,
특성,
특성을,
특징,
특징을,
폴리,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계,
필요,
필요없고,
하는,
하다,
하여,
할수,
핫멜트,
핫멜트접착제,
화학,
화학적,
화학적으로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