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3. 24. 08:30 접착제란?
폴리아세틸렌계 전도성 폴리머의 연구방향
728x90
폴리아세틸렌은 π형 공액 고분자로서 수은처럼 높은 전도율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지만, 산소에 대하여 불안정한 문제점을 안고 있어 주로 전도성 고분자의 모델 화합물로서 취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폴리아세틸렌도 이온 주입에 의해 공기중에서 1개월간 안정한 p-n 접합을 만든 예도 있으며, 또한 보론 화합물 가스, 질소화합물 가스, 인화합물 가스 등의 불순물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가스의 원소가 폴리아세틸렌 제조시에 합성 과정을 통해 탄소원자를 치환하여 자체 전도체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공기 중에서도 안정한 전기 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후공정으로 도핑을 따로 할 필요가 없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결정성이 높은 폴리디아세틸렌은 용매에 불용이지만, 측쇄의 선택에 의해 가용인 것도 만들고 있습니다. 용매에 가용인 폴리디아세틸렌을 필름상으로 형성하면, 기상 도핑도 가능해집니다. 그러나 전도율의 상승은 다른 고분자에 비해 크지 않습니다. 폴리디아세틸렌은 구조의 규칙성을 활용하여 전도성보다 비선형 광학효과의 방향으로 개발될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 폴리아세틸렌계 전도성 고분자는 우수한 전도성을 살리고 용매에 가용인 전구체를 경유한 전도성 폴리머를 지향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리티오펜의 시장예측 (0) | 2015.04.07 |
---|---|
폴리피롤 전도성 고분자의 수요예측 (0) | 2015.03.31 |
폴리아세틸렌계 전도성 폴리머의 연구방향 (0) | 2015.03.24 |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 초미립자 분산도료 도포법 (0) | 2015.03.17 |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 물리적 성막법 (0) | 2015.03.10 |
정전기 방지용 카본블랙 분산 복합전도성 필름과 쉬트 (0) | 2015.03.03 |
TAG 가능,
가능해,
가스,
가스의,
가용,
가용인,
개발,
개발되고,
개발될,
것으로,
것이,
결정,
결정성,
경유,
경유한,
고분자,
고분자로,
고분자로서,
고분자의,
공기,
공기중,
공액,
공정,
과정,
과정을,
광학,
광학효과,
광학효과의,
규칙,
규칙성,
규칙성을,
그러나,
기상,
기상도피이,
기술,
기술도,
나타,
나타내는,
내는,
높은,
다른,
대하여,
도핑,
도핑을,
되고,
되었,
되었지만,
따로,
또한,
만든,
만들고,
모델,
문제,
문제점,
문제점을,
방향,
방향으로,
보론,
분자,
분자로,
분자로서,
불순,
불순물,
불안정,
불안정한,
불용,
비선형,
비해,
사용,
사용함,
산소,
산소에,
살리고,
상승,
상승은,
생각,
선택,
선택에,
선형,
수은,
수은처럼,
아세틸,
아세틸렌,
아세틸렌계,
안고,
안고있어,
안정,
안정한,
앞으로,
없는,
연구,
연구가,
연구방향,
예도,
용매,
용매에,
우수,
우수한,
원소,
원소가,
원자,
유지,
으로,
의해,
이들,
이루어,
이온,
이온주입,
이온주입에,
인화,
인화합물,
있어,
있으며,
자체,
전구,
전구체,
전구체를,
전도,
전도도,
전도성,
전도율,
전도율을,
전도체,
전도체를,
접합,
접합을,
제조,
제조시,
주로,
주입,
주입에,
지만,
지향,
지향한,
질것,
질소,
질소화,
질소화합물,
처럼,
취급,
취급되고,
측쇄,
측쇄의,
치환,
치환하여,
크지,
탄소,
탄소원자,
통해,
판명,
폴리,
폴리머,
폴리머의,
폴리아세틸,
폴리아세틸렌,
폴리아세틸렌계,
필름,
필름상,
필요,
하게,
하면,
하여,
합성,
합성과정,
합성과정을,
형성,
형성하게,
형성하면,
화합,
화합물,
화합물로,
화합물로서,
활용,
활용하여,
효과,
효과의,
후공정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