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스크린 인쇄기술을 이용해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는 페이스트(paste) 재료는 간단한 공정에 비해 정전 용량이 낮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고용량의 커패시턴스를 구현하기 위해 티탄산 바륨과 유리분말이 사용되고 있으며, 스크린 인쇄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세라믹 페이스트 재료도 개발 중에 있습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반도체 패키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분자 복합재료 또는 후막 페이스트 (0) | 2018.07.27 |
---|---|
축전기용 유전재료 (0) | 2018.07.20 |
Printable Paste 개발 (0) | 2018.07.13 |
실장기술의 새로운 전개 (0) | 2018.07.06 |
내장형 수동소자의 특허권 (0) | 2018.06.29 |
미국의 수동소자 내장 기술 개발동향 (0) | 2018.06.22 |
TAG paste,
PRINTABLE,
간단,
간단한,
간단한공정,
간단한공정에,
개발,
개발중,
개발중에,
고용량의,
공정,
공정에,
교용량,
구현,
구현하기,
기술,
기술을,
낮아,
널리,
바륨,
바륨과,
분말,
분말이,
비해,
사용,
사용되,
사용되고,
세라믹,
스크린,
스크린인쇄,
스크린인쇄기술,
스크린인쇄기술을,
시턴스,
시턴스를,
용량,
용량의,
용량이,
위해,
유리,
유리분말,
유리분말이,
이용,
이용해,
인쇄,
인쇄기술,
인쇄기술을,
있는,
있지,
있지는,
재료,
재료는,
재료도,
정전,
정전용량,
정전용량이,
커패시터,
커패시터를,
커패시턴스,
커패시턴스를,
탄산바륨,
탄산바륨과,
티탄,
티탄산,
티탄산바륨,
티탄산바륨과,
페이스트,
하기,
할수있는,
현재,
형성,
형성할,
형성할수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