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802건

  1. 2012.02.25 DSC로 경화도 분석
  2. 2012.02.25 DSC 결과 해석시 고려사항
  3. 2012.02.25 DSC 의 분석
728x90


시료의 조성은
silica 70~80% epoxy를 주제로하고 phenol을 경화제로 하며, 촉매및 기타 첨가제가 소량 혼용된 배합이며, 위의 그림과 같은 경화 반응을 보입니다
.
>
이 시료에 대하여 다음 각각의 공정후 curing %(혹은 전환율)을 측정하고 싶은데 DSC로 어떻게 측정할 수 있나요?

이 시료에 대하여 다음 각각의 공정후 curing %(혹은 전환율)을 측정하고 싶은데 DSC로 어떻게 측정할 수 있나요?
>1. Mixed Raw Material
>2. 1
의 원료를 80~120 Kneading (B stage상태
)
>3. 2
의 시료를 175℃에서 고압 Molding 하여 60sec cure

>4. 3
의 시료를 175 oven에서 4시간 cure(bake)

>5. 4
의 시료를 150 oven에서 24시간 bake

 

경화도를 측정하고자 하시면 임의의 승온속도(, 10/min)로 가열한 시료의 postcuring heat ΔH(경화열; 일반적으로 exothermic curing peak의 면적, J/g)을 경화되지 않은 시료의 total curing enthalpy ΔHtot와 비교해서 경화도(degree of cure) α를 계산 할 수 있습니다.
, 1의 ΔH(100~200℃ 구간의 경화열 J/g) 2~5의 ΔH를 각각 나누면 연구하고자 하는 경화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열분석장비 DS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분석의 종류  (0) 2014.03.07
열분석의 정의  (0) 2014.02.28
DSC 결과 해석시 고려사항  (0) 2012.02.25
DSC 의 분석  (0) 2012.02.25
DSC 열분석의 해석  (0) 2012.02.25
Posted by 티씨씨
728x90

먼저 동일한 공정으로 제작된 재료의 반복적 측정 시 재료의 균질성과 기기의 오차율, 재현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DSC 결과 해석에 대하여 문답식으로 글을 작성합니다.


1. 개시온도나 종결온도가 온도차이가 몇도 이상이 의미가 있는 것인지?
---> Standard
라 생각하는 재료의 데이터와 허용오차에 따르므로 이는 실험과 재료에 기준에 따라 다릅니다.직접 결정하실 문제입니다.

2.
개시온도, 종결온도, 반응열, 최대peak 온도 중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봐야 할 것은 무엇인지?
--->
개시온도와 반응열입니다. 개시온도는 경화온도이며 반응열은 경화열이기 때문입니다.

3.
이 그래프의 결과를 통해 경화가 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할 수있는지?
--->
경화되지 않은 시료를 DSC로 가열하면 경화됩니다. 이 실험 직후에 시료를 그대로 둔채 다시 실험해 보세요. 혹시 두번째 실험에서 경화 픽이 발생되면 처음 가열했을 때 완전경화되지 않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실험은 공정상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가열해보는 실험에서 매우 유익합니다.

4.
궁극적으로 DSC결과를 통해 제가 사용한 경화제의 전처리 조건에 따른 그래프로 경화제의 안정성/계속적 사용가능여부를 알수 있는지?
---> DSC
실험으로 경화제의 안정성 여부는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경화제의 양과 종류에 따른 경화정도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열분석장비 DS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분석의 종류  (0) 2014.03.07
열분석의 정의  (0) 2014.02.28
DSC로 경화도 분석  (0) 2012.02.25
DSC 의 분석  (0) 2012.02.25
DSC 열분석의 해석  (0) 2012.02.25
Posted by 티씨씨

DSC 의 분석

열분석장비 DSC 2012. 2. 25. 14:14
728x90
이번글에서는 DSC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그래프를 분석하면 되는데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천천히 따라오십시요.



1. 1st run 50℃ 근처에서 나타나는 peak은 재료의 enthalpy relaxation (완화현상) 때문입니다. 완화현상은 a)재료를 열처리한 온도에서 또는 b)재료를 오랜 시간 저장해 두었을 때 나타납니다. 이는 가열 시 제거되고 보시는 바와 같이 2nd run에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완화현상(enthalpy relaxation)은 사람이 오랬동안 서 있으면 피로해지는 것과 같이 재료 또한 마찬가지이며 결국 relaxation으로 표현되는 것입니다.
 
2. 80
℃ 부근에서 baseline이 올라가는 건 아니고 DSC 기기의 분해능이 낮아 melting peak이 정확히 나타나지 않은 겁니다. , 60~100℃ 걸쳐 재료가 용융한 것입니다. 재료가 녹았다는 증거는 cooling 시 발생된 발열픽-냉각 시 결정화가 증거입니다. 재료에 결정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결정은 a)가열 시 용융, b)냉각 시 결정화를 합니다.



시작온도인 100℃에 이르면서 재료가 경화를 이미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측정시작과 함께 heat flow가 많아져서 baseline이 높게 시작된겁니다. 온도를 90, 80℃로 낮춰 보시면 flat baseline으로 시작하실 수 있을 겁니다.

경화픽 면적 2,110 J/g을 이용해서 경화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열분석장비 DS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분석의 종류  (0) 2014.03.07
열분석의 정의  (0) 2014.02.28
DSC로 경화도 분석  (0) 2012.02.25
DSC 결과 해석시 고려사항  (0) 2012.02.25
DSC 열분석의 해석  (0) 2012.02.25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