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728x90
접착제의 시장상황 및 접착제 시장의 현황을 알아볼까 합니다.
접착제 하면 앞에 글에서 알아 봤지만 간단합니다.
붙으면 고체가 되엇 굳고 접착을 시켜주는 것이죠. 간단히 액체 -> 고체로 변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접착제의 전세계 시장상황부터 알아 보겠습니다.
1.
전세계 접착제, 실란트, 표면처리 제품 시장은 680억달러 규모로 공업용 접착제 시장이 4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여러분들이 타고다니시는 자동차의 경우 한 대당 12-15kg의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불과 5-10년 전보다 두 배의 양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자동차 안에 자꾸만 전자기기들이 들어갑니다. 전자기기 에는 많은 접착제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자동차에 전자기기가 더 많이 들어갈 것이니 접착제의 사용량은 더욱 늘어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3.접착제는 건축에 사용되는 못, 징이나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볼트 등의 금속제품들을 대체하고 있으며. 의료분야에서 상처를 봉합할 때 실과 바늘 대신 특수 접착제 사용하며, 이와 같은 특수 접착제 연간 시장규모가 100만달러 에서 10억달러 이상으로 급상승하였 습니다.
4.또 중국등을 포함한 개발도상국가들이 세계 접착제와 sealant 시장에서 238억달러의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있어서 앞으로도 접착제는 더욱 많이 사용 될 것입니다. 
5.국제 접착제 시장은 연 3.5~5.5% 사이의 성장세를 보이고 급성장 중인 아시아지역은 연평균 6%의 성장을, 중국의 수요는 연 10%의 성장을 기록 하고 있습니다. 와우~~ 놀랍지 않습니까? 
6.


이제 접착제의 시장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접착제는 사용된 용제에 따라 용제형, 수성, 무용제형로 구분이 됩니다. 어려운 용어가 나왔다고 두려워 하지 마십시요. 앞으로 위 용어들에 대하여 조금씩 설명 드리겠습니다. 그냥 오늘은 그런 용어가 있구나 생각 하시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건축자재, 자동차, 테이프 시장등 국내 대부분의 범용 접착제 시장에서 용제형 접착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용제형 접착제에서 발생되는 휘발성분(포름알데하이드)들은 환경오염 뿐 아니라 새집증후군을 발생시키는등 인체에  매우 안 좋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는 방송매체를 통하여 많이 알고 계실듯 합니다.
현재 접착제 시장의 환경규제가 심해져 용제형 접착제 시장은 계속 감소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며 반대로 무용제형접착제는 친환경 소재로써 꾸준히 시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접착제에 많은 규제들이 있고 인증을 받아야 하는 부분들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들이 많이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니 너무 걱정 않하셔도 됩니다.


제가 시간이 많지가 않아서 자주 글을 올리지 못하지만 시간나는데로 짬짬히 글을 올리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UV경화와 건조의 차이점에 대하여 간단한 표를 이용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항목 UV 경화 건조
 원료상태 액체  액체 
 화학성분 모노머와 올리고머  폴리머 
 출발물질 접착제, 잉크 또는 페인트 원료  완성된 접착제, 잉크 또는 페인트 
(접착제, 잉크, 페인트가 용제에 희석된 상태)
 시작시의 화학성분 고분자가 되지전의 원료물질  완성된 고분자 
 반응의 종류 화학적 중합반응  용제가 날아가는 물리적 현상 
 사용 에너지원 자외선  열과 바람 
 완성된 제품상태 고체  고체 
 반응시간 1~수초  수분~수일 
 생산성 매우높다  매우낮다 
 표면경도 강한것이 많다  대체로 약하다 
 표면광택 대체로 높다  대체로 낮다 
 라인길이 짧다(0.5~3m)  대체로 길다(1~수십m) 
 설비 대체로 간단  대체로 복잡 
 공해 무용제 이므로 공해가 거의없다  용제를 함유하므로 공해발생 
 주로 사용되는 제품 PCB,PC,가구,인쇄,반도체,LCD,핸드폰,필름,장판 등 수백여종의 제품  인쇄,정전도장,소부도장,필름,장판등 
 장점 높은생산성,무공해,고경도  잉크값저렴 
 수지비용 대체로 고가  대체로 저렴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열은 전자 제품이나 전자 소자등에 큰영향을 줍니다.

전자제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자제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System reliability(제품 신뢰성)
• Product performance(제품 품질)
• Limits design advances(제품의 디자인)
– size requirements(제품크기)
– power density(소자등의 밀도)
• Thermal platform(방열 관련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관련)
costs(가격)


위와같은 고려사항들을 고려하여 제품을 설계하게 됩니다. 

 

상기 사진을 보면 전자 소자 내부에 큰 열이 방생하고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Heatsinker(방열판)로의 빠른 열 방출이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내는 사진 입니다.
상기 사진은 열을 분석하는 장비로 열을 찍은 사진으로 위쪽에 파란색이 방열판이 위치하여 있고 아래쪽이 소자가 놓여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아래쪽 보라색이 열이 높은 공기가 소자쪽으로 오는 그림이고 소자쪽과 방열판 쪽의 그림이 파란색인것은 그만큼 방열이 잘되고 있다는것을 나타낸 그림 입니다.

전자제품은 내부적의 열을 외부로 빠르게 빼주지 않으면 그 열이 소자에 영향을 주어 소자가 제기능을 수행할수 없게 됩니다.

이를 경제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절한 제품들을 선정하여 내부의 열을 빼내 주어야 합니다.

 

지구상에는 많은 금속들이 존재하며, 그러한 금속들은 상당히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고 있는데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예)
aluminum = 217 watt/m-K(지구상에 존재하는물질)
copper = 394 watt/m-K(지구상에 존재하는물질)
diamond = 630 watt/m-K(지구상에 존재하는물질)
filled silicon grease = 0.80-5.5 watt/m-K(지구상에 존재하는물질)
방열 접착제 혹은 Ag 페이스트 = 0.39-3.9 watt/m-K(특별한 목적으로 제조된 제품)

 

상기의 예)에서 보듯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금속류와 어떠한 특정 목적으로 제조된 제품간의 열전도도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수 있으며, 특정 목적으로 제조된 제품중에 그래도 열전도도가 높은 제품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일반적으로 열 방출을 위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열전도도 수치만을 놓고 제품을 판단하는 경향이 많은데 그것은 정말 잘못된 생각이며, 아래 5가지의 고려사항을 전재하고 제품을 선택 하여야 합니다.

 

※ 열전도에 영향을 주는 5가지 고려사항

1) Bondline thickness(접착두께)
2) Surface wetting(접착제 혹은 방열제품의 접합성)
3) Contact pressure(접착압력)
4) Area(접착면적)
5) Long term stability(치수안정성)

 

 

상기 사진은 열전달 계면들을 가상적으로 표현한 그림 입니다.

그리고, 계면사이에 열전달 제품이 위 사진들의 공극을 얼마나 잘 매워 주느냐가 가장 효과적인 열전달을 수행 할수 있는지의 관건 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상기 사진은 방열 제품 종류를 열거한 것이며,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쉽게 확인할수 있어 자신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제품을 찾는데 도움을 줄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열전도도가 좋아 지는것의 관건은 접촉 표면에 얼마나 적절히 방열제품이 스며들고 공기가 제거되느냐 하는것이 관건이라 하겠습니다.

 

운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