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826건

  1. 2013.11.13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응용
  2. 2013.11.12 액정 적하공법-도입
  3. 2013.11.11 폴리머의 결정성
728x90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특히 표면에너지가 낮은 소재를 접착하는데 유용합니다. 표면에너지가 낮다는 것은 그 값이 40~35dyne/cm 이하인 것을 말합니다. 여기에 속하는 것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고밀도, 저밀도), 폴리스티렌, 스티렌 공중합체(ABS 등), PVC, PMMA, 등이 있습니다.
표면에 페인트코팅이 있든가 오일이나 이형제 등이 제거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접착력 저하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유용합니다.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표면에너지가 낮은 소재에 국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다른 플라스틱, 세라믹, 유리,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수지, 금속, 나무 소재에도 잘 적용된다. 소재의 형태에도 제한이 없습니다. 필름, 스트립, 시트, 판넬, 3차원 형태 등 어떤 경우에도 적용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리머 접착제  (0) 2013.11.20
액정 적하공법-계속  (0) 2013.11.19
액정 적하공법-도입  (0) 2013.11.12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시험방법  (0) 2013.11.06
UV 경화 기술  (0) 2013.11.05
Posted by 티씨씨
728x90

 

 

LCD (Liquid crystal display)에 사용되는 Mother glass는 LCD의 대형화 경향에 따라 적용되는 기판의 크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TV 시장에서의 CRT의 급격한 감소와 LCD 및 PDP TV의 괄목할만한 성장은 관련 재료의 품질 향상과 시장의 규모를 늘렸지만 상대적으로 근래에는 LCD Panel 가격이 하락을 초래하여 LCD 관련 산업의 총체적인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하였습니다.
제 1세대 LCD 제조 기술에서 현재의 8세대 기술에 이루기까지 여러 제조 공법이 개선되었으며 그 중에서 Mother glass 상판과 하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는 방식에서 액정을 적하하는 방식으로의 기술 진보는 패널생산 시간을 획기적인 줄인 기술이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액정 주입 방식에서는 패널당 소용되는 생산시간이 8~10 시간으로 상당한 생산지체 요인이었지만 액정 적하공법에서는 3~10분으로 획기적으로 제조 시간을 절감하여 공정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가져왔습니다. 액정적하공법에 필수적인 UV 경화형 Seal제 개발은 이와 같은 기술이 적용이 가능하게 한 필수적인 재료입니다. 제 1세대부터 제 4세대(730 × 920 mm2)까지의 20인치 이하의 소형인 경우에는 열경화성 Seal제를 사용하였으나, 제 5세대(1100 × 1300 mm2) 이후 20인치 이상 크기에는 LCD 제조기술의 혁신적인 변화와 더불어 액정 적하공법이 적용되었습니다. 현재의 제 8세대(2160 × 2460 mm2)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공정 단축과 LCD 패널 가격 인하에도 기여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폴리머의 결정화율

 

대부분의 고분자 물질은 완전히 무정형이라기 보다는 어느 정도의 결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결정을 포함한 폴리머의 결정 비율(degree of crystallinity)과 구조의 형태 차이는 고분자 물성에 여러 가지 영향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선상의 호모폴리머 중에서 대칭성이면서 동시에 분자간 응집력이 큰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키릴로니트릴,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은 결정하기 쉽고 융점도 높습니다.
폴리머가 결정성을 가지면 결정률이 높으면 높을수록 분자간에 규칙적으로 바르게 배열한 부분이 많아집니다. 그리고 결정화에 있어서 결정화 에너지를 방출하여 안정화하므로 폴리머로서의 인장 강도가 증대합니다. 이와 같이 섬유로서의 인장 강도가 증대되어 섬유 형성능을 가지는 폴리머는 다른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나쁘게 되므로 피착체로서 접착하기 어렵습니다. 보통 폴리머는 상기그림과 같이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결정화율을 가집니다. 결정화율을 감소시키면 접착 강도가 일반적으로 증대합니다. 그러나 결정화율이 극히 감소하면 접착 강도도 저하하고, 그 대신에 점착성이 좋아지게 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