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814건

  1. 2013.04.03 전자 패키징용 무연 전도성 접착재료의 발전 동향
  2. 2013.04.02 LCD 의 특징
  3. 2013.04.01 양이온 중합 메커니즘
728x90

 

 

반도체를 근간으로 하는 전자산업은 지난 수십년간 전세계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왔지만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기판상의 소자들의 전기적 접속에 요구되는 사항은 큰변화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소자의 접속에는 주석과 납의 합금으로 만들어진 솔더(solder)가 주요 재료로써 사용돼어왔으며 거의 대부분의 전자패키징분야, 예를들어 표면실장방식(surface mount technology, SMT), PTH(pin through hole), BGA(ball gride array)패키징, CSP(chip scale packaging)등에서 핵심적인 전기적, 기계적 접속소재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납성분의 환경오염유발에 대한 국제사회적 관심의 증대로 전자기기에서의 납성분 사용에 대한 금지 또는 규제법안이 유럽과 미국, 일본등에서 실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고자 대부분의 전자업체들은 무연접속재료의 개발에 필사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새로운 전기접속재료의 개발은 두방향으로 진행되어 왔습니다. 그하나는 납성분이 배제된 무연솔더이며, 다른하나는 고분자기반 전기전도성 접착제(electrical conductive adhesive, ECA)입니다. 주석이 주성분인 무연솔더는 비교적 낮은융점과 저렴한 원소재가격 그리고 다른금속성분과의 친화성을 장점으로 이미 상업적 생산품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상업화된 무연솔더의 주종을이루는 주석/은, 주석/은/구리 시스템은 기존 납/주석 솔더에비하여 융점이 높아 회로실장시 공정온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따라 접속된 회로의 신뢰성에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내열성이 금속성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고분자나 유기물과의 접속에는 적용이 매우 제한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따라 주석/인듐과 같은 저융점 합금도 무연솔더재료로서 검토되고 있으나, 아직은 해결해야할 점들이 많은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전기전도성 접착제는 고분자 바인더에 금속입자를 분산시켜 놓은것으로 금속입자는 전기적성질을, 고분자 매질은 물리적 그리고 기계적 성질을 지배합니다. 기존의 솔더접속 기술과 비교할때 전도성 접착제의 장점은 환경친화적 소재이며, 공정조건의 단순화에의한 비용감소 그리고 특별히 강조할만한것으로, 매우 미세한크기의 전도성 입자제조기술이 정립되어 미세피치회로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할수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현재 상업화된 전도성 접착제의 경우에서도 다른 무연솔더와 마찬가지로 해결하여야할 점들이 없는것은 아니며 납솔더보다 낮은 전기 및 열전도성, 신뢰성테스트에서 나타난 전도도의 열화현상과 금속입자의 유출 및 엉김, 그리고 열악한 내충격강도등은 시급히 넘어야할 사항들입니다. 그러나, 전도성 접착제에관한 최근의 전세계적 관심과 연구역량의 집중은 불과 얼마전만 하여도 상상할수 없었던 놀라운 결과물들을 쏟아내고 있으며, 이는 향후 전도성 접착제 분야의 성장가능성이 매우클것임을 예견하는 전문가들의 예견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전기적 기계적 접속재료로서 전기전도성 접착제가 갖는 중요성과 기존 솔더접속방식을 대신하여 전기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새로운 전기적 기계적 접속방식으로서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각종 패키징기술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검토내용을 이야기할것으로, 제반문제에 대하여 기술적 해결책과 향후 개발동향에 대하여 알아볼것입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 개시 시스템 및 간접 개시 시스템  (0) 2013.04.08
접착제의 선정기준 및 향후 전망  (0) 2013.04.05
양이온 중합 메커니즘  (0) 2013.04.01
접착제의 역사  (0) 2013.03.29
조직접착제의 선정  (0) 2013.03.27
Posted by 티씨씨
728x90

 

 

저소비 전력(수∼수십μW/cm2)으로 장시간의 전지구동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이며, 수∼10V 저전압에서 동작하므로 직접 IC 구동이 가능하고 구동 전자회로의 소형화, 간략화가 가능합니다. 또한 소자가 얇고(수mm), 또한 대형표시(수십 cm대각)에서 부터 소형표시(수 mm대각)까지 가능합니다. 특히 휴대형(portable)기기에 적합 수광형 표시이므로 밝은 장소에서도 표시가 선명하고, 표시의 컬러화가 쉽기 때문에 표시기능의 확대, 다양화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투사확대 표시나 집적표시가 가능하여 대화면 표시(수 m대각)가 용이합니다.


▶ 해상도
display의 특성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특성으로 얼마나 세밀한 부분까지 표현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해상도를 들 수 있습니다.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화소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단위시간동안 drive IC가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많아져서 결국 처리속도가 높아져 거의 한계에 다다른다는 문제점이 생기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신호 왜곡, EMI등이 발생할 소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수직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한 개의 수평line에 할당된 시간이 짧아졌습니다. LCD에서는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이 하나의 수평 line시간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 시간이 어느 이하로 짧아지면 제대로 충전이 안돼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 시야각(Viewing angle)
액정은 광학적으로 Ordinary Reflective Index(no)와 Extra Ordinary Refoective Index(ne) 두 종류의 굴절율을 갖는 이방성 물질이므로 LCD 는 시야각에 따라서 색과 C/R의 값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시야각은 보는 눈의 방향에 따라서 결정되는 각도를 말합니다. 시야각은 C/R의 값이 10:1 이상일 때의 범위로 정합니다. 시야각의 측정은 눈과 화면이 정면이 될 때의 각도를 0°로 정하여 패널을 상하-60°~ 60°, 좌우 -60°~ 60° 로 회전시키면서 각 계조(Gray Lever :Gray1 ~ Gray16)에서 2 ~ 5° 간격으로 측정합니다. 시야각에 따른 휘도 곡선을 그리면 Gray Scale Inversion이 발생하는 각을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LCD의 화질을 결정하는 것은 시야각뿐만 아니라 Gray Scale이 Inversion 되는 각도도 포함되어야 합니다.


UFS LCD(Field Sequential) Color LCD란?
인간의 눈의 시간적 분해능력의 한계를 이용하여 R,G,B의 백라이트 광원의 색을 전면의Filter 기능을 하는 B/W TFT LCD를 고속으로 통과시켜 원하는 화상을 Display하는 새로운 방식의 Color Display 컬러 필터 없는 B/W TFT LCD를 Shutter 로 활용하여 R,G,B의 LED광원을 4.5ms의 고속으로 통과시켜 원하는 화상을 Display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디스플레이란무엇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컬러 필터 제조 공정  (0) 2013.04.16
TFT 어레이 제조 공정  (0) 2013.04.09
백라이트(Back Light)  (0) 2013.03.26
Driving IC  (0) 2013.03.19
LCD의 구분  (0) 2013.03.12
Posted by 티씨씨
728x90

 

 

양이온 중합을 유도할 수 있는 광개시제는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도 오니윰 염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양이온 중합 광개시제입니다. 이러한 오니윰 염을 광개시제로 사용하였을 때의 중합 메커니즘을 주요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니윰 염이 광 조사를 받았을 때 일어나는 반응 메커니즘은 직접 개시 시스템과 간접 개시 시스템으로 나누어집니다. 직접 개시 시스템의 경우 오니윰 염 자체가 에너지를 흡수 하여 분해됩니다. 이에 반해 간접 개시 시스템은 첨가되는 감광제에 의해 에너지가 흡수됩니다.
에너지가 흡수된 후에 첨가제 자체 혹은 첨가제에 의해 생성된 종이 오니윰 염과 반응하여 개시 양이온을 만들어 냅니다. 이 때 첨가제를 변화시킴으로써 적용할 수 있는 파장대를 다양화 시킬 수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