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813건

  1. 2012.07.26 CSP의 리드프레임 기술동향
  2. 2012.07.26 EMC 산업의 특성
  3. 2012.07.23 접착제의 용도에따른 분류
728x90

 

리드프레임 CSP 패키지 (Lead On Chip 패키지)

 

리드프레임 CSP 패키지는 기존의 리드프레임을 사용한 플라스틱 패키지의 리드프레임의 설계를 변경하여 패키지의 크기를 CSP 규격에 맞도록 줄인 것으로서 대표적인 패키지는 메모리 소자에 사용되는 LOC(Lead On Chip) 패키지라 할수 있습니다. LOC 패키지의 경우 반도체의 가운데에 I/O 패드를 위치한 중심 패드 칩을 사용합니다. 반도체 소자를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리드프레임의 리드가 칩의 가운데 면으로 향하도록 설계된 리드프레임에 접착 합니다. 이후 칩 I/O 패드와 리드프레임의 안쪽을 와이어 본드로 연결하고 플라스틱 몰딩을 하며 기존 플라스틱 패키지와 유사하며 패키지 크기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는 리드프레임 CSP 패키지를 제조할 수 있습니다.

 

 

히타치사의 LOC 패키지 모습

 

대표적인 리드프레임 CSP 패키지는 히타치 Cable사의 LOC-CSP 패키지입니다. 폴리이미드 필름에 폴리에테르아미드 열가소성 접착제를 도포한 필름을 사용하여 리드프레임과 chip을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 접착합니다. 이러한 얇은 폴리머와 접착제 두께로 말미암아 칩 표면에서의 수분 흡습을 감소시키며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최초의 LOC 패키지는 64 MDRAM에 사용되었으며 칩/패키지 면적비가 70-90%입니다. 비록 가장 작은 CSP 패키지는 아니지만 패키지 크기, 신뢰성, 가격 및 JEDEC 표준 등의 장점을 갖습니다.

 

 

후지쯔 사의 MF-LOC와 L/F LOC 패키지

 

이와 같은 초기 LOC 패키지를 개선하여 더욱 작은 리드프레임 CSP를 구현한 것이 후지쯔가 개발한 두가지 리드프레임 CSP인 MF-LOC(Multiframe LOC)와 Tape-LOC입니다.

 

 

후지쯔 리드프레임 LOC 패키지 제조공정

 

MF-LOC 패키지는 두단계 리드프레임을 사용합니다. 칩을 접착한 앞면 리드프레임과 칩의 뒷면을 보호하기 위한 리드프레임을 용접한 후 와이어 본딩을 합니다. EMC를 사용하여 몰딩한 후 금속 다이 접착 리드를 노출시킵니다. 리드프레임 trim과 forming을 한 후 패키지는 완결됩니다. Tape-LOC의 경우 리드프레임 한 개만을 사용하여 칩의 윗면에 폴리이미드 테잎을 사용하여 접착합니다. 추후의 공정은 MF-LOC와 동일합니다. 더 이상의 리드프레임이 필요하지 않고, 칩의 뒷면은 그대로 노출되어 열 방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후지쯔는 리드프레임 LOC 패키지를 메모리 소자 패키지용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후지쯔 고집적 3차원 리드프레임 LOC 패키지

 

한편 후지쯔 리드프레임 LOC 패키지는 고집적 3차원 패키지용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칩 표면에 바로 접착된 리드프레임과 솔더링을 하기위한 wraparound 리드를 사용한 수직 MF LOC패키지를 나타냅니다. 이 패키지의 특징은 열 방출을 위하여 리드프레임과 리드를 독특하게 설계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이닉스의 BLP 패키지

 

다른 리드프레임 LOC 패키지는 하이닉스의 초박형 BLP(Bottom Lead Package)입니다. BLP 패키지의 특징은 0.8 mm 두께와 크기를 줄이기 위해 외부 리드를 없애고 패키지 바닥에 바텀 패드(bottom pad)를 만든 특이한 리드프레임 설계를 사용하였습니다.


두께 200㎛ Alloy 42 리드프레임과 3개의 notch를 사용하여 몰딩과 리드형성에 용이하도록 설계하였으며, thermoplastic 접착제 테이프를 사용하여 칩을 리드프레임에 접착합니다. 또한 칩은 280㎛ 두께로 갈아내어 사용하며, molding compound 두께는 칩의 위, 아래 면에서 270㎛ 입니다. 리드프레임 deflashing은 그라인딩 방법을 사용합니다. 패키지 바닥 면은 그라인딩 후 10㎛ 두께의 솔더를 도금합니다. 하이닉스 BLP 패키지의 칩/패키지 면적 비는 57%로서 CSP 정의인 80%에 미치지 못하지만 TSOP 패키지에 비해 현저히 작고 개선된 특성을 갖고 있음으로 CSP로 분류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반도체 패키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P 기술동향(Rigid Substrate)  (0) 2012.08.06
CSP 기술동향(Flexible Substrate)  (0) 2012.08.01
반도체 패키징기술의 기술동향  (0) 2012.07.18
무연솔더 기술  (0) 2012.07.12
플립칩 기술  (0) 2012.07.06
Posted by 티씨씨

EMC 산업의 특성

접착제란? 2012. 7. 26. 09:49
728x90

 

(1) 반도체 경기에 의존
EMC산업은 주로 반도체봉지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반도체경기에 매우 민감합니다. 따라서 EMC의 연중 계절변동성은 비수기인 2/4분기는 대체로 경기가 하락하다가 반도체수요가 증가하는 3/4분기부터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최근 반도체 불경기가 EMC산업의 경기부진으로 이어져 왔으나 추후부터 반도체 경기가 되살아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국내 EMC업계는 가동률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가격보다는 품질이 우선
EMC가 반도체의 가격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습니다. 그러나 EMC는 반도체소자를 보호하는 구조재료이기 때문에 반도체의 기능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줍니다. 특히 EMC 컴파운딩기술은 반도체의 품질을 좌우하므로 지금까지 일본기업이 거의 전 세계시장을 지배하여 왔습니다. 따라서 EMC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가격적 잇점보다는 품질의 우수성이 먼저 확보되어야 판매확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국내기업들의 기술수준 향상으로 국산화 비율이 높아져 국내시장을 일부 대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도 수출하고 있습니다. EMC의 전방산업인 반도체산업의 제품트렌드는 초고집적화, 다양화 그리고 초고정밀화의 현상을 보이고 있어 반도체 봉지재인 EMC도 초고순도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전자기기(Device)들도 고기능화 및 다양화 경향을 보이고 있어 EMC의 소재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추세라 할 수 있습니다. 결국 EMC는 가격보다는 품질의 우수성과 안정성이 경쟁력의 관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높은 대일 수입의존도
EMC는 전기, 전자재료의 다른 부문에서와 마찬가지로 일본이 세계시장을 지배하고 있고 국내시장도 고부가가치 제품의 경우는 주로 일본제품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스미토모, 니토, 히다치 등 일본산의 시장점유율은 물량기준으로는 30% 정도에 지나지 않았지만, 금액기준으로는 국내시장의 50%이상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국내생산은 주요 4대 EMC 메이커인 금강고려화학, 제일모직, 동진쎄미켐, 씨스퀘어이엠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국내기업의 기술수준은 최근 급속히 발전하여 고부가가치 EMC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OEM방식으로 생산하는 경우 Signetics, Amkor, ASE, Chip PAC 등으로부터 국산의 품질은 인정받고 있지만, 원청업자의 승인을 얻기 어려워 불가피하게 일본산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저가의 다이오드, 트랜지스터용 EMC는 국산과 중국산 그리고 타이완산이 거의 차지하고 있습니다.


(4) 다양한 사양에 의한 주문판매 위주
EMC는 반도체 제조회사 및 반도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사양이 공급되어져야 하므로 전문영업팀에 의한 국내 직판과 해외지사 등을 통하여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반도체회사와 EMC 제조사간의 공동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한번 체결된 계약관계는 장기간 지속되어 공급선을 쉽게 바꾸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C 산업환경분석(반도체 경기)  (0) 2012.08.01
특성별 접착제 개요  (0) 2012.07.30
접착제의 용도에따른 분류  (0) 2012.07.23
EMC 산업의 개요  (0) 2012.07.18
에폭시 접착제의 배합  (0) 2012.07.18
Posted by 티씨씨
728x90

 

접착제의 분류

 

일반적으로  접착제는 특수용도의 무기계 접착제를 제외하고는 고분자물질을 중심으로 응용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의 금속, 플라스틱, 고무, 목재, 섬유, 세라믹 등의 재질에 용도 이외에 생체나 의료용 재료 및 단순한 접착 기능뿐만 아니라 도전성 등 다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접착제 등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접착제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접착제의 분류는 특성에 따라 범용과 기능성 접착제로 분류가 가능하고, 또는 재료별로 에폭시계, 우레탄계, 고무계 등으로 구분하거나, 용도별, 경화 특성별로 분류하는 등 다양한 분류가 가능합니다.
산업상 응용 및 접착제 제조산업 전반에 따른 접착제의 분류는 상기의 표와 같습니다.
주요 분석 대상이 되는 기술은 신규 접착제 제조를 위한 신물질의 채택 여부를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하였으며, 이를 접착제로 사용하기 위한 formulation 그리고 응용 방법 및 응용분야에 대한 기술을 선별 분석하고자 하였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성별 접착제 개요  (0) 2012.07.30
EMC 산업의 특성  (0) 2012.07.26
EMC 산업의 개요  (0) 2012.07.18
에폭시 접착제의 배합  (0) 2012.07.18
카메라모듈용 저온속경화형 에폭시개발  (0) 2012.07.16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