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810건

  1. 2013.03.08 경화용 UV 램프 및 램프 구조
  2. 2013.03.07 디스펜서 바늘 끝 히터
  3. 2013.03.06 수술용 천연접착제
728x90

 

UV는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이 높은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 여러 산업분야에서 여러가지 UV 램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존 발생, 살균, UV경화, 광분해, 광합성, 노광, 표면 세정/개질 등 uv의 작용과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의 uv 램프가 있습니다.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램프의 직경, 길이, 전극의 구조, 베이스(소켓부분)의 모양과 구조가 각각 다릅니다.
UV의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 여러 산업분야에서 uv 램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1). 석영관 : 직경 15-35mm의 석영관을 사용하여 만들며, 대부분의 램프는 외경 24.5-25mm의 석영관을 사용하여 만듭니다.
2). 발광 물질 : 램프 내부에는 램프 종류에 따라 수은 혹은 Metal halide salt 라는 발광 물질이 들어 있어서, 좌우의 전극에 전기가 공급되면 수은 혹은 Metal halide가 발광합니다.
**수은 혹은 Metal halide salt의 분자가 전자 충격을 받아 외곽 전자가 여기 되었다가 원래의 궤도로 복귀하면서 전자 충돌시 받은 에너지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출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빛이 나오므로 불이 켜지는 과정을 “발광”이라고 합니다.
3). 전극 : 램프 내부에는 텅스텐으로 된 전극이 램프 중심을 향하여 1개씩 있다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램프 내부로 연결시켜주는 통로입니다. 공급된 전기는 전자의 흐름이며, 전기가 공급되면 전극의 끝 부분에서 열전자가 방출되고, 이 열전자는 램프 내부의 수은 원자 궤도의 전자와 충돌하여 원자 궤도의 전자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서 에너지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출합니다. 이 때 나오는 전자기파 중에서 파장이 100-370nm인 전자기파가 바로 uv입니니다. 전극은 온도가 2800-3000도로 높아지므로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텅스텐으로 만듭니다. 전극의 핵심은 저온에서 전자를 잘 방출하며, 불순물에 의해 전극이 산화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설계하고, 제작합니다.
**.좌우 전극의 끝 부분에서 맞은편 전극의 끝부분 까지의 길이를 극간거리 혹은 발광장(Arc Length)라고 부릅니다.
4). 버퍼 gas : 석영관의 내부에는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아르곤, 크세논, 헬리움, 크립톤 등의 완충 가스가 수-수백 Torr 들어 있습니다. 완충 가스의 종류와 량에 따라 특정한 파장이 두껍게 혹은 얇게 나오고, 점등 전압, 흑화 진행 속도가 달라집니다.
5). 베이스 : 램프에는 수백-수천 볼트의 고전압이 인가되므로 전기가 도입되는 부분은 고압에 충분히 견뎌야 하고, 석영관은 유리처럼 잘 깨어지기 쉬운 재질이므로 석영관을 보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램프 베이스입니다. 램프 베이스는 보통 세라믹으로 되어 있으며, 황동 혹은 니켈 도금한 황동을 사용하는 램프도 있습니다.
**램프 베이스는 램프 제조회사별, 램프 모델 별로 수십 수백 가지의 모양과 크기가 있으며, 램프 구입처를 변경할 때는 베이스 모양을 알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6). 전선 : 램프에 전기를 인가해 주는 도체 입니다. 램프에는 수백-수천 볼트의 고전압이 인가되는데 안정기(파워 서플라이)에서 나오는 고압 전원을 램프에 연결 시켜 주어야 합니다.
**전선은 고전압과 고온을 견딜수 있는 실리콘 전선 혹은 테프론 전선이 사용됩니다.
7). 열 반사막 : 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극 주위의 온도가 800-900도로 높아야 하고, 이 부근의 온도를 높게 유지해 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전극에서 발생된 열은 투명한 석영관을 통하여 외부로 손실되므로 전극이 냉각되는데, 전극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열을 반사할 수 있는 열 반사막이 필요합니다. 열 반사막은 전극 주위 외부에 황색 혹은 백색의 알루미나 혹은 금 박막을 형성시켜 만듭니다.
한편, UV 램프에서는 고열이 발생하므로, 램프를 냉각 시키기 위해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거나, 주위의 더운 공기를 배출해야 하는데 이때 전극도 지나치게 냉각되어 램프 내부의 수은이 응축되어 찬 석영관의 내벽에 응축하는 현상이 생깁니다. 수은이 석영관의 내벽에 응축되면 램프가 제대로 발광되지 않고 희미해 지므로 uv 경화가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과냉(過冷 : Overcooling)이라고 하며, 과냉을 막기 위해 전극 외부에 황색 혹은 백색의 “열반사막”이 코팅되어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대부분의 디스펜서는 접착제의 점착성을 줄이고 흐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디스펜싱 입구 근처의 히터를 사용합니다. 접착제 디스펜서 바늘 끝의 최적 온도는 주로 경화제에 의존하며 제품별로 다릅니다. 바늘 끝 온도가 너무 낮으면 재료가 예상대로 손쉽게 흐르지 않아 스트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 공급업체의 권장사항을 따르도록 합니다.
바늘 끝 온도가 너무 높으면 바늘에서 큐어링이 발생해 ID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도트 크기는 바늘이 퍼징되거나 세척될 때까지 점차적으로 줄어들 것입니다. 실제 온도를 알아보기 위해 핸드헬드 열전쌍으로 측정해 바늘 끝 온도의 설정값을 확인합니다. 디스펜서의 온도센서는 일반적으로 접착 경로에 장착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접착제 온도는 장비 측정값과 확연히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천연고분자를 사용한 수술용 접착제와 밀봉재는 생화학 반응으로 가교되므로 생체친화성입니다. 천연 접착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피브린과 콜라겐입니다. 피브린 밀봉재는 혈액응고의 최종단계를 모방한 접착제로 인간 혈장의 몇 가지 성분으로 만듭니다. 가장 기본적인 피브린 밀봉재는 트롬빈과 피브리노겐, 소량의 CaCl2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은 지혈과 봉합의 두 기능을 갖는 혈전을 만듭니다.
미국의 피브린 접착제 제품으로는 HemaseelTM APR(Haemacure Corp.), TisseelTM VH (Baxter Healthcare Corp.), CrossealTM(OMRIX Biopharmaceuticals Ltd.)이 있습니다. 이들 제품은 심혈관 수술 시 지혈, 신경수술시 경막 폐쇄, 뇌척수액 누출 방지, 경막 누출 치료, 기관지 흉강루의치료, 근치적 경부절제술 후의 임파액 누출 치료, 비장 및 간장 열상치료에 쓰입니다. 최근 개발된 피브린 봉합재는 심각한 출혈 제어용으로 발포 피브린 봉합재와 건조한 피브린 봉합재가 있습니다. 스프레이 타입의 피브린 폼은 출혈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액체 타입보다 우수합니다.
콜라겐 접착제는 혈액과 응집물을 콜라겐 섬유에 흡수, 틈새에 트랩 시켜 상처에 유효하게 접착합니다. 콜라겐은 또한 혈소판의 접착과 응집을 일으키며 응고인자를 활성화합니다. 그러나 콜라겐 지혈제는 부풀어 조직에 압력을 줍니다. 따라서 안과 및 비뇨기과의 수술에는 쓸 수 없다. 콜라겐은 포유동물에서 생산되므로 병의 전염 위험이 낮습니다. 콜라겐은 수술사 재료, 지혈접착제, 창상치유에 쓰여 왔습니다.
미국에서 인가받은 콜라겐 접착제는 FloSealTM(Sulzer Spine-tech), ProceedTM(Fusion Medical Technologies)가 있습니다. 이들은 소의 콜라겐과 트롬빈으로 만든 것입니다. 이들 제품은 혈전에 매트릭스를 제공하고 이곳에 피브리노겐을 전달하여 응고를 촉진한다. FloSealTM은 혈관 수술 지혈에 적합하며 ProceedTM는 뇌척수액 누출 처리에 적합합니다.
제자리에서 겔을 형성하는 재료는 제어약물전달 및 조직공학용 주사제제 지지체로 유망합니다. 주사 제제 지지체는 조직 접착 및 기체 및 체액의 누설 봉함 기능에 쓸 수 있습니다. FlosealTM(Fusion Medical Technologies, Inc., USA)은 국소 지혈 접착제로 소 유래의 가교 젤라틴 입자와 트롬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겔 형성은 자기조립 펩티드, 자극응답(예: poly-N-isopropylacrylamide)을 이용한 물리적 수단과 혈액응고(예: 피브린 밀봉재)에 근거한 생물적 수단으로 될 수 있습니다. 겔 형성은 또한 해양 접착제(예: 홍합 접착제)의 가교제, 천연 및 합성 고분자의 저분자량 폴리페놀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가 혈액 응집 중에 가교반응을 일으키는 접착제도 있습니다. 체외 시험에서 칼슘 비의존 미생물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mTG)가 젤라틴을 수분 내에 가교, 겔화 합니다. 이 젤라틴 mTG 접착제는 습한 조직에서도 접착하며 접착강도는 피브린계 봉합재와 동등 또는 그 이상입니다.
미국에서 대동맥 절개 치료에 도움을 주는 용도에 국한된 GRFG(gelatine-resorcinol-formaldehyde-glutaraldehyde) 접착제로 인가된 Bio GlueTM(CryoLife Inc., GA)는 소의 알부민과 글루타민알데히드가 조합된 것입니다. 지혈성인 키토산을 이용한 접착제인 Hem ConTM은 심각한 간장손상의 돼지에서 심각한 유연세포 및 대정맥성 지혈을 제어할 수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콘드로이틴황산은 연골의 중요한 성분으로 압축에 저항성이 있습니다. Wang 연구팀이 개발한 콘드로이틴황산을 알데히드와 메타크릴레이트로 작용기를 부여한 접착제는 천연 연골조직과 생체재료 삽입물에 접착합니다. 이 접착제의 알데히드와 연골 콜라겐의 아민기가 화학반응을 합니다. 메타크릴레이트기는 중합하여 삽입물 재료를 고화합니다. 이 접착제는 연골결함부위의 세포외 매트릭스 생산과 조직재생을 촉진하여 삽입물과 주변조직이 일체화하여 즉시 기능을 발휘하고 장기적으로 회복하게 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