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825건

  1. 2013.10.11 전도성입자의 대체기술
  2. 2013.10.10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의 상세한 설명
  3. 2013.10.08 에폭시수지산업의 이슈분석
728x90

 

전도입자 피치 하단부 삼각형화

 

장기적으로 일부 분야에서는 전도입자가 사용되지 않는 디자인이 진행 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TFT-LCD 디스플레이 소자의 경박단소화 경향에 따라 많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단자의 고밀도 접속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까지 알려진 피치의 고밀도화는 약 40~50 ㎛ 피치입니다. 그러나 회로 단자는 에칭 공정이 필수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고밀도화가 진행될수록 에칭 공정 이후 단자의 모양은 필수적으로 마름모꼴이 됩니다. 만약, 지속적인 파인 피치화가 진행될 경우 마름모꼴 피치는 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피치 하단부는 충분한 면적이 나오지만 상단부의 면적은 거의 1~2 ㎛ 수준의 폭을 가지게 되어 실제적으로 전도입자의 안착이 힘들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한 도면을 상기그림에 나타내었습니다.

 

 

NCF의 사용 설명도

 

따라서, 에칭 공법에 의해 단자 피치를 형성시켜, 전도성 입자를 접속하는 실장방법은 일정 피치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기존의 패턴 피치 단자와 Glass ITO 단자가 직접 상호 접속하고, 이것을 전도성 입자가 없는 경화 수지 조성 필름 접착제만을 이용하여 열 압착하는 무전도성 필름(NCF, Non-Conductive Film) 방식이 고안되었습니다(상기그림).
기존의 전도성 입자를 사용하여 전기적 접속을 유도하던 것을 TAB IC의 Cu 패턴에 약간의 돌기상을 만들어 배열시킴으로써 패턴간의 미끄러짐을 막으면서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경화가 유도되는 접속 방식입니다. 현재 일부 극소수의 반도체 칩에서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와같이 무전도성 필름으로 접속할 경우는 다양한 범프 구조의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기적 신뢰성 및 안정성에 대한 데이터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폴리우레탄 원료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함께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첨가됩니다.
– 이는 말단에 수산기를 가지며 주쇄는 복수의 옥시알킬렌기로 된 올리고머나 폴리머입니다. 바람직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분자량 400~40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등입니다.
– 이들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촉매 존재 하에서 알킬렌 옥사이드의 개환중합반응으로 만들어집니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사용량은 전체 반응물의 30~50중량% 범위입니다. 구조가 다른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소프탈산을 주성분으로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이소프탈산, 그 에스테르 또는 그 무수물과 폴리올의 축합중합반응으로 만들어집니다. 아디프산 등의 지방족산이나 지환족산을 공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테레프탈산 성분을 다량 사용하면 접착력이 격감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따라서 테레프탈산 성분은 가급적 1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제조에 쓰인 2가 산 중에서 적어도 40중량% 이상이 이소프탈산인 것이 바람직합니다.
–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제조에 쓰이는 디올로는 지방족 알코올과 방향족 알코올이 모두 쓰일 수 있다. 주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등이 쓰입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국내 에폭시수지 시장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에폭시수지 중 절반 가량을 수출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에폭시수지 제조업체의 매출 및 수익은 환율변동에 민감합니다.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개선되지 않은 가운데 미국의 중국 위안화에 대한 대폭적인 절상 요구 등으로 달러와 약세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중국 등 일부 중앙은행의 유로화 비중 확대 양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달러화는 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미국의 사회보장비용 급증으로 재정적자 폭이 확대될것으로 우려되는 가운데 대외 의존적인 소비구조로 경상수지 적자를 개선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미국 달러화에 대한 신뢰도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향후 미국의 금리인상 중단과는 달리 일본, 유럽의 상대적인 경기 호전에 따른 금리인상 전망은 미국과 주요국 간의 금리차이를 작게 만들어 미국으로의 자본 유입을 감소시켜 달러화 약세를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같은 요인들로 달러화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수출제품 가격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에폭시수지 제조업체의 매출성장 및 수익구조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