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673건

  1. 2013.01.10 UBM(Under Bump Metallurgy)
  2. 2013.01.09 Electrical Properties
  3. 2013.01.08 Nanoclay를 활용한 수성형 점착제
728x90

 

 

UBM이란 반도체칩의 Al 또는 Cu 전극상에 직접 솔더 또는 Au 범프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접착이 용이하고 칩으로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전극과 범프간에 형성하는 다층 금속층으로서 접합층, 확산방지층, wettable 층의 세가지 층으로 구성됩니다.


(1) UBM의 역할과 조건
UBM층을 설계하고 제작할 때의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웨이퍼상의 칩패드 최종 금속층이나 패시베이션 층과 접착력이 좋아야함
․ 칩패드 최종 금속층과 범프간에 전기저항이 낮아야함
․ 솔더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야함
․ UBM의 최종층은 솔더와 Wetting성이 좋아야함
․ 외부로부터 IC 금속배선을 보호하여야함
․ Si 웨이퍼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하여야함
․ 테스트가 끝난 probed 웨이퍼에 적용가능하여야함


(2) UBM 시스템
첫 번째는 Cr/Cr-Cu/Cu 시스템으로 Evaporation이나 스퍼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하는 것으로 IBM, Motorola, MCNC, Unitive 등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구조는 60년대에 이래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고용융점 솔더에서는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UBM 구조입니다. 그러나 증착방법을 이용하므로 범핑가격이 높고 Sn의 함량이 높은 저용융점을 솔더의 경우 Cr-Cu 합금내의 Cu와 Sn의 반응으로 금속간 화합물(IMC)을 형성하여 접착력을 약화시키고 범프의 박리와 같은 불량을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두 번째는 TiW/Cu 미니범프 시스템으로 솔더를 전해도금방식으로 증착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 시스템은 IZM, 모토롤라, Citizen 등에서 솔더의 증착방법으로 전해도금을 사용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UBM 시스템이며 여기서 Cu 미니범프는 Reflow 중 발생하는 금속간화합물의 성장을 충분히 고려하여 Cu 층을 약 5~10um 두께로 형성시킨 두꺼운 Cu 층을 말합니다. 이 재료들은 PbSn 공정솔더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 안정성 측면에서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이 단점입니다. LCD 구동 IC를 전해도금방법으로 금범핑하는 경우에는 TiW/Au UBM을 많이 사용합니다.
세 번째는 Al/NiV/Cu 시스템으로 FCD(구 FCT), 앰코 등에서 적용중에 있습니다. 이 UBM 시스템은 Cu가 완전히 소모되고 난 뒤에 솔더와 Ni이 직접 만나게 되는데 Ni이 솔더와의 Wetting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현재 솔더 범핑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네 번째는 무전해 도금된 Ni UBM 은 PacTech, ICI등에서 적용하고 있는 것을 가격이 저렴한 것이 장점이나 probed 웨이퍼에 사용이 곤란하고 신뢰성 확보와 미세피치에 대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반도체 패키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패키지 산업의 발전  (0) 2014.10.10
전자패키징기술  (0) 2014.10.02
플립칩 기술의 범프  (0) 2013.01.03
플립칩 기술의 Interconnection  (0) 2012.12.26
플립칩 기술의 정의  (0) 2012.12.19
Posted by 티씨씨
728x90

 

Volume Resistivity 측정법

 

⑴ Volume Resistivity
일반적으로 Volume Resistivitiy는 접착제의 X, Y, Z축 방향 Average Conductivity를 측정하는 것으로 전도성 접착제뿐만 아니라 절연성 접착제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전도성 접착제의 경우 RLC Digibridge System과 동등한 측정 Capability를 가진 Ohm Meter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도성접착제 생산업체에서는 Gen Rad 1689 Precision RLC Digibridge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Non Conductive Adhesive의 경우에는 Beckman Model L-8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적으로, Volume Resistivity는 상기그림에서와 같이 Four Point Probe System을 이용하여 2 Point에 전압을 걸고 다른 2 Point에서 전류를 측정한 후 상기의 공식에 의해 구하여집니다.

 

 

Bond Joint Resistance 측정방법

 

⑵ Bond Joint Resistance
Bond Joint Resistance는 Volume Resistivity와는 달리 전도성 접착제 Joint의 Bond Line을 통하는 전기저항을 Z축의 방향으로 측정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전도성접착제 생산업체에서는 GenRad 1689 Precision RLC Digibridge System을 사용하고 있으며 Test Specimen은 상기그림과 같이 50㎛ 두께로 고순도 Gold Plating된 302 Type Stainless Steel(4"x1"x0.062")에 Film이나 Conductive Material을 1"x0.5"만큼 도포한 후 다른 Strip을 Overlap시킨 후 경화해서 만듭니다.


⑶ Dielectric Constant
일반적으로 전도성접착제 생산업체에서는 MIL-STD-883(Method 5011)에 준하여 25℃에서 1KHz와 1MHz 주파수의 교류전압 Condition에서 절연성 접착제의 Dielectric Constant를 측정하고 있으며 1KHz Test에는 GenRad 1689 Precision RLC Digibridge System을, 1MHz Test에는 GenRad Model 1687B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olymer의 Dielectric Constant는 1KHz와 1MHz에서 6.0이하입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a) Structure of nanoclay

(b) defolded nanoclay

 

수성형 점착제는 친환경적이면서 낮은 제조원가, 높은 분자량, 높은 반응률, 우수한 고형분, 고속 코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에 현재 사회의 친환경 소재 활용에 따른 분위기에 맞추어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특히 수성형 중에서도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형태는 에멀젼 타입의 점착제입니다.
에멀젼타입의 접착소재는 독성이 없고 노화가 적으며 높은 분자량으로 그 활용 가능성이 높은데반해 내수성이 매우 떨어지고 열과 전단응력에 취약함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용제형 점착제들에 비해 낮은 접착물성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nanoclay를 첨가하여 수성형 점착제의 물성을 향상 시킬수 있습니다. Nano 사이즈의 물질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분산성이 매우 중요하게 되는데 이는 nano물질들이 그 질량에 비해 훨씬 큰 표면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재료들 간의 표면이력이 발생하여 응집을 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분산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판상적층형의 nanoclay의 사이에 단량체를 반응 전에 투입하여 그 분산성을 높이는 in-situ 중합이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상기그림(a), (b)의 nanoclay의 구조가 다양한 분산과정을 통해 defolded 하게 되면 nanoclay효과가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nanoclay의 효과적인 분산방법에 대하여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