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728x90

 

Forward-Biased P/N Junction

 

A. LED(Light Emitting Diode)는 P형 및 N형의 반도체 상하에 Gold와 같은 금속 전극을 증착하여, P형 전극에는 (+)전압을 인가하고, N형 전극에는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P/N Junction에 순방향 전류가 흘러 발광되는 Diode입니다.
□ Forward-Biased P/N Junction(순방향)
Junction의 N형 재료가 외부 축전기의 음극에 연결되고, P형 재료가 양극에 연결되었을 때 P/N Junction Diode는 Forward-Biased되었다고 합니다. 이 배열에서 Majority-Carrier는 Junction을 향하여 반발력을 받아 결합하며 이때 Junction의 Barrier는 감소하여 전자와 홀(Hole)이 Junction을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지속적으로 재결합하게 됩니다. 전자 흐름에 대한 Barrier는 P/N Junction이 순방향일때 감소하므로 많은 양의 전류가 흐릅니다(상기그림참조).

 

 

Reverse-Biased P/N Junction

 

□ Reverse-Biased P/N Junction(역 방향)
P/N Junction의 N형 재료가 양극에 연결되고, P형 재료가 음극에 연결되었을때 P/N Junction은 Reverse-Biased되었다고 합니다. 이 배열에서 N형 재료의 전자가 Junction을 벗어나 축전지의 양극에 접근하고, P형 재료의 홀(Hole)은 Junction을 벗어나 축전지의 음극에 접근합니다. Junction을 벗어난 Majority-Carrier의 전자와 홀의 운동은 에너지 Barrier의 폭을 증가시켜 Majority Carrier에 의한 전류를 흐르지 못하게 합니다(상기그림참조).

 

 

LED Bonding Vertical Structure

 

B. LED Bonding Vertical Structure(상기그림참조)

 

 

역방향시 전류,  전압특성

 

C. Ag- Epoxy가 LED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다량의 Ag-Epoxy에 의한 Short 불량
위 LED구조를 나타낸 그림에서 Epoxy가 P영역 보다 더 높게 Dispensing된다면, 전기적으로 N극성과 P극성이 Short됨으로써 Diode가 역방향(Reverse-Biased:OFF상태)으로 인가시 전기적으로 ON 상태의 특성 불량이 나타납니다. 상기그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20V이하에서 N극성과 P극성간에 Short가 발생하였습니다.

 

 

순방향시 전류,전압의 특성

 

□ 소량의 Epoxy로 인한 Die Tilt 및 Wirebonding 불량
Epoxy가 아주 소량으로 Dispensing될 경우, Die Tilt로 인하여 Wirebonding시 불량이 발생될 수도 있습니다.
□Under Cured Epoxy에 따른 불량 (상기그림참조)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경우 Wirebonding시 쿠션현상으로 인한 Bonding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Die Back Side와 Cup(Die Bonding Pad)사이의 불완전한 접착으로 저항이 증가하여 순방향(Forward-Biased)전압 인가시 정격 전압보다 더 높은 전압에서 ON 상태로 되는 전기적 특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상기그림에는 전압이 0.7 V 이상에서 ON 상태로 되어 Diode의 발광 상태가 불량한 것을 나타내었습니다.

□ Die Bonding후 Resin Bleed에 의한 불량
Resin Bleed가 Bonding Pad를 오염시키는 경우,  Wirebonding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D. LED의 신뢰성 Test
□ Pressure Cooker Test(PCT)
121℃, 100% RH, 168hr의 조건에서 Chip Metal Corrosion으로 인한 특성 불량을 평가하는 Test로서 접착제내에 Chloride Ion 함유량이 높을 경우는 Corrosion을 가속시켜  특성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Mechanical Shock  / Vibration Test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평가하는 Test로서 접착제의 접착강도에 문제가 있는 경우 회로단락 불량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Wirebonding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도 같은 불량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Thermal Shock Test
외부의 열 충격에 대한 제품의 신뢰성 보증 여부를 평가하는 Test로서 접착제의 Under Cure나 접착 강도에 문제가 있는 경우 Delamination이 발생되어 회로 단락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High Temperature Operation Test
150℃, 20% RH의 조건에서 1000hr 동안 Sample을 넣어 신뢰성 보증 여부를 평가하는 Test로서, 접착제의 강도가 낮거나 접착상태가 불량한 경우 Delamination으로 인한 특성불량이 발생될수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에폭시수지의 국내 생산업체로는 국도화학, 금호PNP화학, (주)베이크라이트코리아, 퍼시픽에폭시레진이 있고, 이 중 국도화학이 60%정도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기업들은 12~15%의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에폭시수지의 국내생산능력은 19.2만톤으로서 국내수요를 크게 초과하고 있으나 반도체용 특수 에폭시수지는 주로 일본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습니다.
용융실리카는 국내 수요가 약 1만톤에 달하고 있는데이중 국내 유일의 용융실리카 제조업체인 한국반도체소재(주)가 물량면에서는 70%를, 금액면에서는 60%를 공급하고 있으며, 나머지는일본업체들로부터 수입되고 있습니다. 그 동안 반도체용 용융실리카는 일본업체인 덴카, 다츠모리, 도쿠야마 등이 국내시장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반도체가격의 하락과 수요감소로 국내 반도체업체들에 대한 정보가 어두운 일본 실리카 메이커들은 시장의 요구에 적절하지 못하게 대처하였습니다. 반면에 한국반도체소재는 국내 EMC메이커들의 품질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그레이드의 실리카를 개발하였고 국내 4대 EMC 메이커들과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한 결과 연평균 20%이상의 높은 매출신장세를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일반적으로 접착제의 높은 열전도도가 요구되는 Application은 크게 전도성과 비전도성으로 분류할 수있습니다.

 

 

Bulk Thermal Conductivity

 

A. 전도성 : Polymer는 원래 전열성이 낮기 때문에 전도성 Polymer의 열전도도 향상은 전기 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Silver에 의존해야만 합니다. Silver 함유량이  70% 내지 80% 정도 되는 일반적인 Ag-Epoxy나 Polyimide의 열전도도는 Eutectic이나 Solder Preform에 비해 상당히 떨어집니다. 여러 Die Attach Material의 Bulk Thermal Conductivity를 상기의표에 정리하였습니다. 전도성 Polymer 접착제는 주로 PDIP, PLCC, SOIC, TSOP 그리고 PQFP에 적용되고 있고 이런 Package들은 Junction부터 Ambient까지의 전열저항치수, 즉 RθJA 가 대략 30∼100℃/Watt입니다. 이런 Package들의 열저항치수는 Solder Preform으로 대치한다해도 별로 변화가 없으며 일부 Plastic Package 중에서 5Watt 이상의 Power를 방출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Power는 Die에서 방출되어 접착제를 통해 Copper Leadframe과 Epoxy Mold Compound를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되는데 이런 Package들의 Junction부터 Case까지의 전열저항치수, 즉 RθJC는 Solder Preform을 사용할 경우 1.5℃/Watt까지 낮출 수 있으나  Solder대신 Polymer 접착제를 사용한다면  RθJC는 약 2.5℃/Watt까지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불충분한 Power 유출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Bulk Thermal Conductivity

 

B. 비전도성 : 일반적으로 비전도성 접착제의 열전도도는 Ag-Epoxy와 같은 전도성 접착제보다도 더 낮으며 전열성을 높이기 위해 열전도도가 비교적 높은 Ceramic Filler 즉 Alumina나 Boron Nitride와 같은 Material을 배합해 주어야 합니다. 비전도성으로 최고의 전열도를 위해서 고가의 Diamond Filler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러 Material의 열전도도를  상기표에 나타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