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728x90

 

각종 접착 강도와 변수와의 관계ㅡ반대 관계 예

 

여러 접착 강도간에는 하나를 크게하면 다른 하나가 저하되는 역전 현상이 일어납니다. 대표적인 예가 전단 강도와 박리 강도와의 관계이다. 상기그림에는 그 관계를 모식도로 나타내었습니다.
그림의 (a)에서 접착제가 단단해지면 탄성률이 증대하고 전단 강도는 거의 직선적으로 증대합니다. 그러나 박리 강도는 저하합니다. 그림의 (b)에서는 접착제의 두께(치수)와의 관계를 나타내었습니다. 두께가 증대됨에 따라 전단강도는 저하하지만, 박리 강도는 반대로 증대한다. (a), (b) 모두 예외는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은분말 시장에서 가장 큰 수요처는 LCD와 PDP TV 분야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이후 LCD와 PDP 등 전 세계 FPD 생산량의 40%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그 시장규모 또한 세계적입니다. 전세계 상위 5개 업체(삼성전자, LG전자, 소니, 필립스, 파나소닉)가 시장점유율 50%를 넘어서는 상황에서, 2개 국내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PDP․LCD TV의 시장확대와 더불어 은 분말의 수요 증대가 가속화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은 분말의 또다른 수요처인 휴대폰의 경우에도 상위 2개 업체가 국내에 포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저가격화 추세 또한 국내업체들에게는 성장촉진 요인이 될것으로 여겨집니다. 여기에 평판 TV의 공급이 확대되면서 가격 인하 경쟁은 결국 부품 소재의 원가를 낮추는 프로세스의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현재 FPD 패널에서 전극이 차지하는 원가는 약 15%이며, 이들 대부분의 경우 선진국에서 수입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원가 절감을 위해서는 저렴한 국산 부품 및 소재의 개발과 공급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Silver Pas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분말 시장의 연구개발 동향  (0) 2013.09.27
은분말 시장의 성장저해 요인  (0) 2013.09.13
은분말 시장의 성장촉진 요인  (0) 2013.08.30
은 분말 시장의 개요  (0) 2013.08.23
전도성의 발현  (0) 2013.08.16
Posted by 티씨씨
728x90

 

 

전도성 접착제는 약 40년의 사용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 전자부품이나 전자기기의 구성 재료로서 필수불가결한 재료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접착성질 이외에 내열성, 유연성 등이 요구되고 있으며,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적절한 접착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가 되고 있습니다.
전도성 접착제는 납을 사용하지 않는 땜납과 비교하여 처리온도가 낮다는 것이 장점이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테크노알파(주)에서는 여러 가지 경화온도의 제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주로 피크온도가 125-200℃에서 경화되는 제품이므로 패키지 부재를 선정할 때 유리하다. 플럭스, 불활성 분위기 및 세정이 불필요하여 생산단가가 감소되는 것도 장점입니다.
최근 오사카대학 산업과학 나노테크놀로지센터에서 은나노입자를 사용한 상온 배선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지금까지 불가능하게 생각되었던 대기 중 상온 또는 약간 가온상태에서 금속배선을 만들 수 있게 됨으로써 유기반도체나 PET 필름 등 내열성이 떨어지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미세한 일렉트로닉스 접속의 경우 금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온접합에서는 알루미늄과 구리의 접합강도가 클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납을 사용하지 않는 전도성 접착제의 경우 일부 사용되고는 있으나 아직 충분한 데이터의 축적이 적기 때문에 신뢰성에 대한 연구개발도 필요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