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728x90

 

 

국내에서 은 분말이나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업체들의 경우, 후발업체로 참여한 만큼 제품생산에 있어서 가격적인 압박이 매우 큽니다. 이는 설비 감가상각이 거의 끝나가는 일본의 전자재료산업과 비교할 때, 국내업체들의 경쟁력은 매우 낮으며, 결국 신규사업이 적정궤도 진입에 이를 때까지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공정 교체가 어렵다는 것도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업체들은 부품이나 세트 제품의 생산 설비가 모두 일본 소재에 맞추어 셋업되어 있어 기존공정에 신규제품을 교체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만일 새로 셋업을 하는 경우 공정조건을 재설정해야 하고, 교체에 따른 문제점들을 모두 세트업체에서 해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외국의소재업체들의 국내 진출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 또하나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일본 도쿄 캐소드, NH테크노 등 LCD 및 초박막 액정표시장치 (TFT-LCD) 부품소재 기업들이 각각 100만달러에서 3억 달러까지 한국에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LCD 유리기판 분야의 세계선두업체인 아사히글래스사는 브라운관용 유리전문 생산업체인 한국전기초자와 합작, 아사히글래스화인테크노한국을 설립하고, 경북 구미에 1억5,000만달러를 투자해 TFT-LCD 유리기판 공장을 설립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일본 반도체 제조업체인 알박(ULVAC)사는 경기 평택 현곡산업단지내 2,000만달러를 투자해 1만2,000평 규모의 IC/LCD용 제작설비와 LCD라인에 들어가는 단품 제작 공장을 설립할 계획입니다. 은페이스트와 관련하여 PDP 분야에서 앞서가고 있는 한국다이요잉크가 국내에 공장을 설립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일본의부품·소재기업들이 한국시장에 들어오는 이유는 일본의 고령화·고비용 심화에 따른 생산거점의 해외이전과 함께 한국의 디스플레이 등 관련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그 수요가 크기 때문입니다. 이같은 투자는 국내 세트업체들에게는 긍정적인 환경으로 작용되지만, 소재업체들에게는 큰피해가 예상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용제형 접착제는 기재에 대한 젖음성이 좋은 반면 무용제나 수성의 접착제는 젖음성이 낮고 결과적으로 접착력이 용제형에 비하여 열세에 있습니다. 그러나 환경과 건강 그리고 안전의 관점에서 무용제 접착제에 대한 요청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수지는 표면에너지가 낮아서 접착시키기 어려운 소재입니다. 무용제형 접착제는 공기중의 수분이나 활성수소를 함유하는 가교제와 함께 경화되어 열경화성 고분자를 형성합니다. 표면에너지가 낮은 소재에도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에폭시수지는 반응 시 휘발성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전기/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치수안정성, 내수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등이 탁월합니다. 이와같은 장점으로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에폭시수지의 대부분은 선박, 자동차 등의 중방식 도료용, PCB 등과 같은 전기/전자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 건축용, 접착제용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PCB, EMC, ABS수지, 성형제 Transformer 절연재 등 전기/전자부품, 반도체 분야로 에폭시수지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으나 국내 에폭시수지 시장 내 공급과잉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수출 비중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에폭시수지의 국내 수요는 선박용 도료 및 전기용 수요 확대에 힘입어 양호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중국에서 선박용 페인트를 중심으로 에폭시수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수출 규모도 증대되고 있습니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완성차 업계 파업에 따른 생산차질, 현대차 그룹의 해외 생산기지 이전, 내수회복 지연, 환율에 따른 가격 경쟁력등의 요인에도 불구하고 국내 생산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와같은 수요산업 성장에 힘입어 도료용 에폭시수지 수요는 안정적인 성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한편 에폭시수지는 PCB(인쇄회로기판)등 전기/전자부품, 반도체 분야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바 도료용에 이어 높은 사용 비중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PCB업계는 완제품의 경쟁 격화에 따른 판매가격의 급락에도 불구하고 휴대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디지털가전산업 등 전방 수요산업의 성장으로 PCB용 에폭시수지의 수요 또한 확대되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