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728x90

 

EMC가 반도체의 가격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습니다. 그러나 EMC는 반도체소자를 보호하는 구조재료이기 때문에 반도체의 기능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줍니다. 특히 EMC 컴파운딩기술은 반도체의 품질을 좌우하므로 지금까지 일본기업이 거의 전 세계시장을 지배하여 왔습니다. 따라서 EMC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가격적 잇점보다는 품질의 우수성이 먼저 확보되어야 판매확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국내기업들의 기술수준 향상으로 국산화 비율이 높아져 국내시장을 일부 대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도 수출하고 있습니다. EMC의 전방산업인 반도체산업의 제품트렌드는 초고집적화, 다양화 그리고 초고정밀화의 현상을 보이고 있어 반도체 봉지재인 EMC도 초고순도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전자기기(Device)들도 고기능화 및 다양화 경향을 보이고 있어  EMC의 소재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추세라 할 수 있습니다. 결국 EMC는 가격보다는 품질의 우수성과 안정성이 경쟁력의 관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C의 높은 대일 수입의존도  (0) 2012.08.10
용도별 접착제 개요  (0) 2012.08.06
경화방법별 접착제 개요  (0) 2012.08.01
EMC 산업환경분석(반도체 경기)  (0) 2012.08.01
특성별 접착제 개요  (0) 2012.07.30
Posted by 티씨씨
728x90

대표적인 Rigid substrate CSP 패키지

 

Rigid substrate CSP는 반도체 소자를 단단한 기판위에 접착하여 제조하는 패키지로서 rigid 기판은 PCB 기판과 같은 유기 또는 세라믹 또는 실리콘과 같은 무기 기판을 사용합니다. 소자는 와이어 본딩 방법을 사용하거나 작은 패키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플립칩 범프된 칩을 사용합니다. Rigid substrate CSP 패키지는 견고하며, 많은 I/O를 다룰 수 있고, 또한 수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열관리 면에서 직접적인 방열 통로가 어렵고, 열관리에 따른 가격상승 문제, 또한 플립칩/BGA 구조에서 열피로에 따른 신뢰성 문제 등이 문제가 되어 경우에 따라 underfill의 사용을 필요로 합니다. 또 한가지 단점은 여러 CSP 패키지 중에서 가장 높이가 높은 문제(1.0~1.4mm)가 있습니다. 위그림은 일반적인 Rigid substrate CSP를 나타냅니다.
대표적인 rigid substrate CSP 패키지에는 IBM, 마쯔시타, 모토롤라, 도시바 패키지 등이 있습니다. 사용되는 rigid substrate는 세라믹 또는 PCB 계통의 유기 기판이 사용됩니다. rigid substrate CSP는 기존의 플라스틱, 세라믹 BGA 패키지의 연장으로서 이를 더욱 작게 만든 것으로, BGA 패키지에 비해 크기와 함께 전기적 성능이 개선된 것이 장점입니다. 칩 연결은 와이어 본딩 또는 플립칩 기술이 공히 사용됩니다.

 

 

IBM mini-BGA CSP 패키지

 

위그림은 IBM mini-BGA CSP 패키지로서 IBM이 보유하고 있는 세라믹 기판과 플립칩 기술을 사용한 것으로 그 역사가 거의 20년정도 됩니다. 이 패키지는 IBM의 고속 컴퓨터에 사용됩니다. 격자형 플립칩 기술은 750개 신호 I/O와 750 power/ground I/O를 연결할 수 있고, 패키지 크기는 21X 21 mm로 작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Mini-BGA는 추후 PCB 기판에 어셈블링하기 위해 공정 Pb/Sn 솔더볼을 사용합니다. 칩 크기는 10X10 mm 로서 고온 90/10 Pb/Sn 솔더볼을 사용하여 세라믹 기판에 플립칩 합니다. 비록 칩/기판 면적 비율이 45%로서 CSP 규격인 80에 미달하지만, 이 경우 칩의 1500개에 달하는 I/O 개수와 decoupling capacitor의 사용에 의해 크기가 증가하였지만 기본적인 패키지 개념을 이용하여 쉽게 CSP를 구현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마쯔시타의 SBB(stud bump bonding) CSP 패키지와 stud 범프 모습

 

위그림은 마쯔시타의 SBB(stud bamp bonding) CSP 패키지입니다. 칩은 금 본딩와이어를 사용한 금 스터드 범프를 사용하며, 금 스터드 범프에 전도성 에폭시를 도포하여 이를 사용하여 칩 범프와 세라믹 기판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합니다. 18㎛ 금 본딩 와이어를 사용하면 60㎛ 직경 범프를 100㎛ 피치로 초당 8 범프의 속도로 형성할 수 있습니다. 범프의 평탄성을 개선하기위해 주조를 하여 범프의 높이를 1㎛ 공차 범위로 만들 수 있습니다. 금 범프에 전도성 에폭시를 도포할 때는 전도성 에폭시가 코팅되어 있는 표면에 칩을 내려서 dip coating 방법으로 도포합니다. 전도성 에폭시가 도포된 칩을 기판에 정렬 및 접착시킨 후 에폭시를 경화 시킵니다. 이때 범프의 접속 저항은 약 50mohm 정도입니다. SBB CSP에 사용되는 세라믹 기판은 양면 기판으로서 비아를 통해 아래 위 면이 연결됩니다. 비아 홀과 도전선은 산화구리 페이스트로 채워지며, 기판은 글래스 세라믹으로서 900℃에서 소결됩니다.

 

 

도시바의 CSTP(Chip Scale Thin Package) 패키지

 

위그림은 도시바의 CSTP(Chip Scale Thin Package)로서 플립칩과 ceramic land grid array 기판을 사용합니다. 특이한 점은 금-금 열압착 방법을 사용하여 칩을 알루미나 기판에 접속시킵니다. 플립칩 접속 후에는 underfill을 사용하여 칩과 기판 사이를 채워 신뢰성을 향상 시킵니다. 알루미나 기판의 양 도전 층은 마쯔시타의 SBB(stud bamp bonding) CSP 기판과 같이 filled via를 사용하여 연결됩니다. 알루미나 기판은 land grid array 패드로 되어 있습니다. 칩의 발열량이 많을 경우 AlN 기판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금-금 열압착 방법은 범프 당 50-150 grams 압력과 350-450 C 기판 온도와 10-60초 본딩 시간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솔더 플립칩에 비해 flux를 사용하지 않고, 클리닝의 필요가 없으며, 와이어 본딩 접속보다 접착력이 강한 장점 있습니다. 금 범프는 전해 도금법을 사용하여  20-50㎛ 높이로 도금합니다. 도시바 CSTP 패키지는 BT 함성수지을 사용한 유기 기판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는 솔더 플립칩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모토롤라의 SLICC(Slightly Larger than IC Carrier) CSP

 

위그림은 모토롤라의 SLICC(Slightly Larger than IC Carrier) CSP 패키지입니다. 기종의 BGA 패키지를 개선한 것으로 칩 쪽의 솔더범프는 고용융점 솔더나 공정 Pb/Sn 솔더를 사용합니다. 공정 솔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격이 저렴하며, underfill을 하고 나면 추후 BGA 솔더볼을 접착할 경우에도 신뢰성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SLICC CSP 패키지의 유기기판에는 지경 500㎛ 솔더볼을 사용합니다. SLICC 기판으로는 FR-4나 BT 합성수지를 사용한 양면 기판을 사용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경화방법별 접착제는 접착제를 적용하기 위한 조건을 중심으로 해당접착제의 가장 큰 특성이 경화특성인 순간접착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가시광선 경화형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등을 포함합니다. 이들 경화방법별로 분류되는 접착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성의 개선 및 특정용도별로 개발이 진행되어 상품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접착제의 제조업체 및 응용 분야에서 통상 분류하고 있어, 이러한 분류를 따르기로 하였습니다. 접착제의 기술을 개괄적으로 보면, 순간접착제는 외부로부터 에너지가 공급되지도 않고 자체의 증발도 없이 수 경화할 수 있는 1액형 접착제로서 접착 작업시 작업공구가 필요하지 않고 소량부품에 신속하게 접착이 가능하며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유리, 고무, 목재 등에 좋은 접착력을 나타내어 자동차, 전기, 전자 등의 정밀기계의 조립공정과 일반가정용으로 사용량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가 주로 사용되며, 독성이 없고 체내에도 축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2개월 정도면 완전히 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되므로 의료용 접착제로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무공해, 에너지 절약, 고생산성의 요구에 따라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유리나 플라스틱의 접착을 위해 개발되어 왔습니다. 최근에는 가열 경화, 혐기 경화, 프라이머 경화, 2액 경화, 습기 경화 등의 복합 경화 기능을 가진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가 개발되어 응용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는 에너지 이용 효율이 높고 경제적이며, 용매를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공해가 적습니다. 또한 조사장치가 콤팩트하여 차지하는 면적도 작고, 경화시키는데 열이 불필요하므로 플라스틱, 종이 등 열적 안정성이 낮은 종이에도 적용 가능하며, 경화속도가 빨라 생산성이 높습니다.
가시광선 경화형 접착제는 접착제의 조성은 UV 경화형과 유사하지만 광개시제, 증감제 등이 다르며, 광개시제로는 벤질과 같이 400nm 부근 이상에서 흡수가 큰 것이 유효합니다. 플라스틱 광섬유나 커넥터 부재에 사용되는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는 자외선 투과성이 낮은 재료로 이들의 접착에 가시광선 경화 경화형 접착제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핫멜트 접착제 (열용융 접착제)는 고체상의 물질을 열에 용융시켜 액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접착제로 작업공간이 적고 접착속도가 빠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속 접착력은 생산라인의 자동화 및 생산성 증대를 가능케 하여 생산성 향상, 인건비 절감, 도포량 조절로 인한 원료량 감소 등 상당한 경제성을 갖고 있습니다. 포장용 및 자동차, 가구, 제본용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되며, 에틸렌-초산비닐계가 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폴리올레핀계,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반응성 핫멜트) 등이 용도별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도별 접착제 개요  (0) 2012.08.06
EMC산업의 특성(가격보다는 품질이 우선)  (0) 2012.08.06
EMC 산업환경분석(반도체 경기)  (0) 2012.08.01
특성별 접착제 개요  (0) 2012.07.30
EMC 산업의 특성  (0) 2012.07.26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