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809건

  1. 2013.02.01 광경화형 접착제의 기술동향
  2. 2013.01.31 액정의 광학 특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3. 2013.01.30 전도성 페이스트
728x90

 

 

(1)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결점인 불투명한 재료의 접착이나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는 부분이 미경화 상태로 남아있는 자외선 미경화부의 경화 방법으로서 최근 라디칼 중합형에서는 가열경화, 혐기경화, 프라이머 경화, 2액 경화, 습기 경화 등의 듀얼 경화기능을 가진 자외선 접착제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2) UV 경화형 접착제는 1액형으로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으나, UV광을 투과할 수 있는 것은 석영 글라스나 소다글라스 등에 한정되며, 폴리카보네이트, 염화비닐 수지 등의 플라스틱류는 UV경화형 접착제로는 접착하기 어렵습니다. 이 경우 열경화와 혐기경화를 병용한 복합경화형 접착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단시간 경화성이 손상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료를 투과할 수 있는 가시광을 이용한 접착제가 개발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조성은 UV 경화형 접착제와 같지만 광중합 개시제에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사람이나 환경에 보다 친화적인 접착제도 개발 되고 있습니다.


1) 국내 기술 동향
(1) 아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일작용기를 가진 페닐 에테르 아크릴레이트와 비스페놀 A 에테르로부터 자외선 경화형 자동차 유리 보수용 아크릴 접착제가 개발되어 있습니다. 이 접착제는 경화되는 동안 수축현상이 적고, 젖음성이 좋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굴절률이 유리와 비슷하여 자동차용 유리 수리용으로 적합합니다.
(2)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머 및 올리고머와 자외선 개시제 및 점도와 반응성 조절을 위해 반응성 희석제를 함유하는 샌드위치 패널과 발포 폴리스티렌 접합용 일액형 자외선경화 접착제가 개발되어 있습니다.


2) 해외 기술 동향
(1) 아크릴계 감압접착제 수지, 에틸렌계 불포화폴리에스테르와 자외선 감광제로 구성된 멤브레인 스위치에 사용되는 전단 접착력을 개선한 자외선 후경화 접착제가 개발되어 있습니다.
(2)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와 N-비닐카프로락탐,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의 반응생성물과 광개시제, 접착촉진제로 된 카보네이트와 금속을 접착시키는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에폭시화 노닐페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풀푸릴아크릴레이트,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를 배합한 광디스크용 우레탄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도 개발되어 있습니다.
(3)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와 N-비닐피롤리돈,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실레이트트리아크릴레이트, 비닐스테아레이트, 벤조일시클로헥산올 등을 배합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도 개발되어 있습니다.
(4) 한편 요도늄염, 가시광선 감광제, 전자 공여성 화합물로 된 가시광선 경화형 양이온 중합성 접착제도 개발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가시광 영역의 수지로서 아르곤이온레이저용 감광재 및 He-Ne 레이저용 감광재도 개발되고 있어 고감도화가 시도 되고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대부분의 액정은 수 나노 미터 크기의 가늘고 긴 막대 모양이나 편평한 모양의 분자 장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는데, 고체에서와 같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아 자기장, 온도, 응력 조건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분자의 장축 방향이 쉽게 바뀌게 됩니다. 이 때 액정의 굴절율, 유전율, 점성율, 전도율 등의 물성값은 액정내의 분자의 방향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이방성을 보이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액정을 응용하고 있습니다.
외부에서 액정에 전압을 가하면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에 따라 분자의 장축이 전압 방향으로 배열하였다가, 전압이 꺼지면 배열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전압에 의한 이러한 액정 분자의 배열 변화가 빛을 통과시키는 통로의 셔터 역할을 하면서 액정을 통과하는 빛의 양이 달라지게 됩니다. 또한 빛이 액정을 통과할 때 두 방향으로 나누어 굴절되는 복굴절 현상이 일어나므로 액정을 통과한 빛은 서로 간섭작용을 하고, 굴절율에 의한 속도의 차이로 인해 광이 분자의 축 방향으로 꺾이는 성질을 갖게 되는데, 이는 디스플레이의 동적 산란 방식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LCD는 이와 같이 외부 전압에 의해 달라지는 액정의 분자배열의 변화에 의한 광학적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입니다.
또한 액정은 연속체로서의 특성이 있어 유리와 맞닿는 부분의 배열을 고정시키면 그 위치가 이웃분자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전체적으로 Twist 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액정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압이 가해지기 전의 액정의 배열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LCD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디스플레이란무엇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CD의 원리  (4) 2013.02.19
LCD의 역사  (0) 2013.02.13
액정의 다른 활용 및 액정에 요구되는 성질  (0) 2013.02.06
액정이란 무엇이며 액정의 분류  (0) 2013.01.24
LCD 기초_LCD에 대한 소개  (0) 2013.01.17
Posted by 티씨씨
728x90

 

 

전도성 페이스트는 기본적으로 바인더 성분과 전도성 필러로 구성된 복합재료입니다. 바인더 성분으로는 합성수지와 낮은 융점 소재가 사용되고, 전도성 필러로는 Ag, Cu, Ni 등의 금속분말, 카본 블랙, 흑연 및 산화주석, 산화인듐 등의 금속산화물을 사용합니다.
고분자형 전도성 페이스트는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증발 건조형과 열경화형으로 분류합니다.
– 증발 건조형은 기본적으로 실온 정도의 온도에서 건조하는데 용제 조성에 따라 50~130℃에서 강제 건조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인더 수지는 소재와의 밀착성, 가소성을 고려하여 선정되나 아크릴수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등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됩니다.
– 열 경화형은 130~150℃ 정도에서 반응경화 하는 것으로 수산기나 카르복시기 등의 기능성 기를 갖는 수지에 경화제, 촉매를 배합하여 사용합니다. 바인더의 수지로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이 용도에 따라 사용됩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