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씨씨가운영하는블로그

728x90

 

 

플라스틱 스페이서공정
플라스틱 스페이서는 경질 스페이서에 비해 불안정하지만 하중부가 여하에 따라 크기가 변하므로 미세한 셀두께 제어재료로서 적합합니다. 또한 액정층의 온도변화에 의한 광학 특성의 변동이나 층두께의 변동을 고려하면 셀두께가 고정되어 있다는 것이 바람직한 일은 아닙니다. 액정의 열팽창계수에 가까운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 스페이서는 고온에서 셀두께 팽창시에 스페이서의 이동을 방지하고 저온에서의 공동발생 방지 등에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플라스틱 스페이서로서는 내열성, 내약품성에 우수하고, 넓은 온도범위에서도 탄체성으로서 거동하는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리 스페이서공정
유리 스페이서는 하중을 주어도 변형이 거의 없고, seal 재의 두께 등을 원하는 수치로 설정하는 용도로는 가장 적당합니다. 막대모양(봉상)의 스페이서이기 때문에 분상했을 때 서로 교차하는 것도 있지만, 길이가 적당하게 짧은 경우에는 기판을 압축하면 서로 미끄러져 교차상태가 풀리고, 긴 스페이서가 겹쳐진 경우에는 파괴되어, 특별히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다만 셀 내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배향막 등 기판내면을 손상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산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유리 스페이서는 알카리성분이 서서히 액정 중에 용출되어 액정재료를 노화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무알카리 유리로 제조합니다. 이는 방사 과정에서는 불순물이 부착되기 쉽고, 이러한 불순물이 액정재료를 나쁘게 하고, 혹은 액정 분자 배열을 흩뜨릴 염려가 있기 때문에, 순수로 완전히 세정한 것을 사용합니다. 스페이서로서는 방사속도를 일정하게 유지, 직경이 균일해지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액정셀의 제조공정
제조 방법은 유리판에 뿜어 칠하는 스프레이법, 진공용기 속에서 재료를 기판에 형성하는 진공증착법, 저압의 기체속에서 방전시키는 고주파스페터법 등이 있습니다. 액정셀에 전압을 가해줄 수 있는 표시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박막을 형성할 때 전극과 같은 모양으로 구멍을 뚫은 마스크를 기판에 대고 패턴과 같은 형태에만 도전막을 붙이는 방법이고, 또 하나는 보다 정밀한 패턴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포토에칭 방법입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Posted by 티씨씨
728x90

 

Components and Its Function of UVcuring Cationic Epoxy Adhesive

 

상기표에 양이온 UV 경화형 중에서 에폭시 수지를 주요 성분으로 한 접착제의 구성 요소와 그 기능은 나타내었습니다.
현재 에폭시 수지로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가 내열성을 요구되는 용도나 경직한 피착물에 대한 접착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밀착성 부여제, 소포제, leveling제, 커플링제 등을 요구 물성에 따라 첨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에폭시 수지 뿐만 아니라 폴리올 화합물, 비닐에테르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등의 첨가도 실용화되고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옥세타닐기의 양이온 중합 속도는 에폭시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크게 가속화되어 신속한 경화를 나타냅니다. 또한, 옥세타닐기를 갖는 화합물을 광개시 양이온 중합을 위한 모노머나 올리고머로서 응용하는 것이 일본 특허공개공보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과 옥세탄 화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경화 막은 일반적으로 기재와의 밀착성이 낮습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조사로 유도된 양이온 중합 속도는 에폭시 화합물과 옥세탄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크게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경화막과 기재의 밀착성이 낮고 단단한 구조물을 형성하게 되어 충격에 쉽게 박리되는 것은 보완해야 합니다.
이러한 UV 광반응은 단시간 경화에 따른 에너지 절약과 생산효율 증가, 무용제를 통한 친환경성, 이 밖에 공간 절약, 작업 간편성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UV 광반응 중에서도 라디칼 중합에 대한 연구와 산업 적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습니다. 그러나 오니윰 염 등 효율적인 양이온 광개시제들이 개발되고, 옥세탄과 같은 양이온 중합을 위한 다양한 모노머들이 연구됨에 따라 양이온 광반응이 라디칼 반응의 역할을 대신할 뿐만 아니라 라디칼 반응에서는 얻을 수 없는 여러 성질들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양이온 광반응의 응용분야 중에서도 양이온 UV 경화형 접착제는 다양한 접착 물성을 요구하는 소재에 적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그 연구 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양이온 UV 경화형 접착제에 대한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으며, 더욱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지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착제란 무엇인가?  (0) 2013.05.10
ICA 접속저항의 신뢰성 증진  (0) 2013.05.08
수성 접착제  (0) 2013.05.03
ICA 전기전도성의 증진  (0) 2013.05.02
광경화 접착제에의 응용  (0) 2013.04.28
Posted by 티씨씨

수성 접착제

접착제란? 2013. 5. 3. 07:51
728x90

 

 

수성 접착제는 목재나 종이의 가공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어떤 의미에서는 평범하고 새로운 맛이 없는 접착제에 속하지만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다는 점에서 다른 접착제에서는 볼 수 없는 고기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성 접착제 중 특히 에멀전계 접착제의 경우 건조의 지연이나 낮은 초기강도, 플라스틱에의 접착성 부족, 내열성-내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나 가교 시스템을 도입 하므로써 보완되고 있습니다. 변성 SBR 라텍스(이미드기 함유)를 주제로 하고 글리옥살을 프라이머로 하는 속경화형 접착제는 초단위로 경화가 개시되어 수분 정도로 경화가 완료되므로 목공조립 분야에 있어서는 혁명적인 speed up 을 가져왔으며, flish panel 의 연속 생산에도 응용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한편 같은 계통의 주제에 에폭시계 경화제를 병용하므로써 요소, 페놀수지에 필적하는 내수성을 얻을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하여 간편한 고성능 목공용 접착제로서 기대되고 있습니다.
우레탄 변성 비닐 수지를 주제로 하고 에틸렌 요소계 가교제를 경화제로 사용하는 수성접착제는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성, 내크리프성이 뛰어나 plastic overlay film, 한열 사이클에 의한 국부하중을 받는 건축용에 매우 유용합니다. 용도에 따라서는 1 액형의 사용도가능하며, 완전한 1 액화가 당면과제 이다. 수성 contact 접착제는 자기 가교형의 클로로프렌 라텍스 또는 아크릴 라텍스를 주성분으로 하며, 수성으로서의 한계보다 초기 건조성에 문제가 있습니다. 그러나 충분히 건조하면 고무 용제형을 능가하는 그린 강도, 최종 강도를 나타내므로 고무 용제계를 대체할 수 있는 접착제로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영홈페이지 : http://www.tcctech.co.kr
QR 코드 :

'접착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A 접속저항의 신뢰성 증진  (0) 2013.05.08
양이온 UV 경화형 접착제의 개요  (0) 2013.05.06
ICA 전기전도성의 증진  (0) 2013.05.02
광경화 접착제에의 응용  (0) 2013.04.28
UV 경화형 접착제  (0) 2013.04.26
Posted by 티씨씨